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 사회 자살률의 변동과 원인: 지역단위 지표를 이용한 패널 분석

Authors
이민아강정한
Issue Date
Jun-2014
Publisher
한국인구학회
Keywords
자살률; 지역 단위 자살률; 복지수준; 사회 통합; 패널분석; Suicide Rate; Community-Level; Welfare; Random Effect; Panel Analysis
Citation
한국인구학, v.37, no.2, pp 1 - 19
Pages
19
Journal Title
한국인구학
Volume
37
Number
2
Start Page
1
End Page
1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3340
ISSN
1226-2986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 자살률의 변동과 그 원인을 지역단위 지표를 이용, 분석함으로써 지역의 특성과 자살률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e-지방지표와 사회과학자료원이 제공하는 시군구 통계자료를 결합하여 2005-2011년도의 자살률 및 다양한 지역 단위 지표를 포함하는 분석자료를 구축하였고, 주요 분석방법으로 확률효과 패널회귀분석(random effect panel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자살률의 지역 간 차이뿐 아니라 2011년까지 이전 3년 간 일어난 자살률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지역 내 변화도 상당한 수준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16개 광역시 및 도 단위보다 구·군 단위로 내려와 분석하였을 때 더 뚜렷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의 고용률과 복지예산 비중이 높을수록 다음 해의 자살률은 감소하였고, 지역의 고령화 수준과 이혼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지역 내 자살률 변화보다는 지역 간 자살률 차이를 설명하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거주지역의 복지와 통합의 수준이 자살과 긴밀한 연관을 갖고 있음을 함의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 자살률의 감소를 위한 향후 연구 및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suicide rate and its causes in Korea by analyzing community-level longitudinal data. The data drawn from regional statistics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 and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http://www.kossda.or.kr) were used. The data set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various community-level indicators as well as suicide rates from 2005 to 2001. We used random effect panel regression techniques. Findings showed that differences in suicide rate within communities, caused by dramatic increases of suicide rate within communities for the last 3 years, as well as differences in suicide rate between communities substantially exi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andom effect panel regression analyses, as employment rate and the percent of welfare spending at community-level (t1) increased, suicide rate at community-level (t2) decreased. In contrast, as the percent of older adult population and divorce rate at community-level (t1) increased, suicide rate at community-level (t2) increa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welfare system and the quality of life would be associated with suicide. Finally, we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to reduce suicide rate in Korea.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in Ah photo

Lee, Min Ah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