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디자인서울 프로젝트의 시각성에 관한 연구 -강남 대로변을 중심으로-

Authors
최영진이수정
Issue Date
2014
Publisher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Keywords
Design Seoul; urban space; visibility; commercialization of space; public value; 디자인서울; 도시공간; 시각성; 공간의 상품화; 공공성
Citation
인문학연구, no.25, pp 305 - 338
Pages
34
Journal Title
인문학연구
Number
25
Start Page
305
End Page
33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3370
ISSN
1229-5485
Abstract
19세기 파리는 오스망화에 의해 도시 시각성의 증폭을 경험한다. 일직선으로 뻗은 도로는 원근법에 의한 도시경관을 만들어냈고, 도로를 따라 정렬한 수많은 상품점은 구경꾼들의 시선을 자극했다. 당시 신문과 같은 대중언론의 발행과 판매는 파리로 모여드는 군중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최근 서울에서 시행되었던 디자인서울 프로젝트는 19세기 도시 공간의 형성에 중심적 역할을 수행했던 시각성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도시공간을 변화시키는 감각으로 남아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시각성이 담지 하는 것은 단순히 보이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그것이 도시공간에서 작용하는 한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과 긴밀하게 연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공간의 시각성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맥락을 통해 분석되어야 한다. 본 글에서는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의 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디자인서울 프로젝트가 생산한 강남 대로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것은 디자인서울 프로젝트를 통해 나타난 시각성의 변화가 어떤 사회적 문맥에서 이해될 수 있는지, 또한 도시 공간과 시각성의 결합이 불러일으키는 효과는 무엇인지로 축약될 수 있다.
The city of Paris experienced the expansion of urban visibility by Haussmannization in the 19th century. The straight roads facilitated a city landscape through the principle of perspective, and they arranged a series of street shops, stimulating the visual attention of the crowd. The success of public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was possible by this hugh crowd of Paris. The importance of urban visibility, which was exemplified by the 19th century Paris, proves to still effectively remain as a sense to change the city space nowadays. The Design Seoul Project can be considered as an exemplary model for this. But visibility is not merely confined to the alleged appearance of space. It is also closely connected with various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city. And thereby, the visibility of a city space must be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contexts surrounding it. With this view in mind,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uss the Kangnam Street as a product of The Seoul Design Project, by way of Henri Lefebvre’s political economy. More specifically, the arguments deal with the social contexts by which the change of visibility through The Seoul Design Project can be understood, and they also deal with the effects that can be brought by the combination of a city space with its visibilit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e, Young Jeen photo

Choe, Young Jeen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