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회적 목표 행동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연구: 사회적 상호성과 목표 프레임을 적용한 설득Persuasion Study on Social Goal: The Effect of Social Reciprocity and Goal-frame on Behavioral Intention of Social Goal

Authors
김재휘강윤희권나진
Issue Date
Apr-2014
Publisher
한국마케팅학회
Keywords
Social goal; Goal-frame; Social reciprocality; Self-construal; 사회적 목표 행동; 목표 프레임; 사회적 상호성; 자기해석; 사회적지지
Citation
마케팅연구, v.29, no.2, pp 79 - 94
Pages
16
Journal Title
마케팅연구
Volume
29
Number
2
Start Page
79
End Page
9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3536
ISSN
1229-456X
Abstract
연구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다수가 관여된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에 있어, 동일한 상황에 놓인 다른 사람에 대한 상호성 인식에 따라 효과적인 목표 프레임이 달라짐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동일한 목표에 놓인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행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사회적 상호성(다수, 소수)과 목표 프레임(to-date, to-go)이 사회적 목표의 실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수에 비하여 다수가 실천하고 있다는 정보가 사회적 목표의 실천을 높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수 행동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경우, to-date 프레임 보다는 to-go 프레임이, 소수 행동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경우, to-go 프레임 보다는 to-date 프레임에 대한 실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사회적 목표를 추구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을 해석하는 유형에 따라 사회적 목표의 실천에 있어 효과적인 목표 프레임이 달라질 것이라 가정하였다. 즉, 다른 사람들(집단)과 자신의 상호 관계 점화에 따라 차별적인 목표 프레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의존적 상호 관계가 점화되는 경우에는 to-date 프레임보다 to-go 프레임이, 독립적 상호 관계가 점화되는 경우에는 to-go 프레임보다 to-date 프레임이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al frame in the process of social goal pursuit. Social goals are defined as shared goals that groups of people are involved, such as charity/fund raising events. In study 1, it focuses on the effect of a message that indicates how many people are pursuing the same goal and its effect on actual goal pursuit. In addition, it also investigates on interaction effect with goal frame (To-go/To-date) and this message suggesting many/only a few people are pursuing the same goal. The result of study 1 suggests that the message that many people are engaged in a goal rather than message that few people are engaged in same goal elicits higher behavioral intention for goal pursuit. Moreover the results of interaction effect suggests that, for the message that few people are engaged, to-date frame (vs. to-go frame) shows higher intention for goal pursuit while for the message that many people are engaged, to-go frame (vs. to-date frame) shows higher intention for goal pursuit. Study 2 focuses on the effect of self-construal level and its interaction effect with goal frame in a pursuit of goal. Self-construal can be explained as the way of how individuals see themselves in a group they belong, whether they include themselves inside the group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r regard themselves independently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result suggests that, for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o-go frame leads to higher behavioral intention while for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to-date frame leads to higher behavioral intention for goal pursui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ae Hwi photo

Kim, Jae Hwi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