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웹(Web) 3.0 시대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open access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etencies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e Age of Web 3.0

Authors
이지현박은아송해덕
Issue Date
Feb-2014
Publisher
한국인력개발학회
Keywords
웹 3.0; 이러닝 교수설계자; 역량; 델파이 조사; Web 3.0;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competencies; Delphi
Citation
HRD연구, v.16, no.1, pp 143 - 168
Pages
26
Journal Title
HRD연구
Volume
16
Number
1
Start Page
143
End Page
16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3714
DOI
10.18211/kjhrdq.2014.16.1.007
ISSN
1229-5086
Abstract
이 연구는 웹 3.0의 기술적 특징과 기존에 제안된 교수설계자의 역량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 분석하여 웹 3.0 시대 이러닝 교수설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새로이 제안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가장 진화된 지능형 맞춤형 웹을 가설적으로 기술할 때 쓰이는 용어인 웹 3.0은 미래 이러닝의 모습과 그 교육적 패러다임의 진화에 핵심적인 동인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웹 3.0 기반 이러닝은 보다 지능화되어 직관적, 효율적인 이러닝 학습 환경을 지향하며, 학습자들이 양질의 맞춤화된 정보로 보다 의미 있는 지식을 창출하는 데에 보다 유연한 방식으로 기여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웹 3.0 기반의 이러닝을 설계하는 교수설계자는 이러한 기술의 변화와 그에 따른 학습에의 변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이러닝을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며, 이들의 역량을 밝히는 일은 웹 3.0기반 이러닝의 성공에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웹 3.0의 기술적 특징과 기존 교수설계자 역량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고, 이어 학교와 기업의 이러닝 교수설계 전문가 12인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웹 3.0 시대에 적합한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이러닝 교수설계자 역량의 다섯 가지 범주로 일반 리터러시 역량, 교수설계 기본역량, 테크놀로지 이해 및 활용 역량, 운영 및 관리 역량, 자기관리 역량이 도출되었다. 각 영역의 세부 역량 요소는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웹 표준화/접근성에 맞춰 이러닝 콘텐츠를 기획·설계할 수 있는 능력,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기술 활용 능력, 효과적인 평가방법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 스스로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로드맵을 그리고 그에 맞게 자기관리를 하는 역량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set of competencies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e age of Web 3.0. Web 3.0, the most advanced next stage web in the evolution of the World Wide Web, is being predicted to be a critical drive for the future e-learning and pedagogical paradigm. Web 3.0-based e-learning seeks to provide more intelligent, intuitive, and efficient learning environments, and to support learners with more qualified and customized information, which would consequently produce valuable knowledge in more flexible ways. Instructional designers who design Web 3.0-based e-learning will need to have more sophisticated technological and educational competencies to create advanced e-learning. To discover their new competencies could be a prerequisite for the success of Web 3.0-based e-learning. In an attempt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create a set of theoretical competencies required for instructional designers of Web 3.0-based e-learning. A three-round Delphi study with 12 professionals in academic and corporate fields was then carried out to come to a consensus on target competencies. Five types of major and sub-competencies emerged. The major types of competency were: general literacy competencies; basic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technology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competencies;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competencies;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The sub-competencies include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design and planning competencies that are appropriated for web standardization and accessibility; 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ies to maximize learning outcome; effective evaluation competencies; and road-mapping competenc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competencies of instructional designers who can lead the innovative changes in e-learning and pedagogy in the new era of Web 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Hae-Deok photo

Song, Hae-Deok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