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녀가 있는 여성의시간빈곤과 정신건강-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소득의 조절된 매개효과-Time Poverty and Mental Health of Women with Children -Moderated Mediation of Income -

Authors
이민욱김지선정슬기
Issue Date
Dec-2018
Publisher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Keywords
time poverty; stress; depression; income; moderated mediation; 시간빈곤; 스트레스; 우울; 소득; 조절된 매개효과
Citation
한국가족복지학, v.62, no.62, pp 39 - 69
Pages
31
Journal Title
한국가족복지학
Volume
62
Number
62
Start Page
39
End Page
6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8794
DOI
10.16975/kjfsw.2018..62.002
ISSN
1598-640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관점에서 유자녀 여성의 시간빈곤과 정신건강의 관계, 그리고 소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시간빈곤과 스트레스, 우울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이 구조적 관계에 대한 소득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6차 데이터의 여성 총 1,505명이었다. 분석 결과, 시간빈곤 수준이 양호할수록 스트레스와 우울은 감소하였고, 스트레스는 시간빈곤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가구 소득 수준은 스트레스와 우울의 정적인 관계를 완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시간빈곤에 처해있는 여성일수록 정신건강 문제에 취약해질 수 있고 그 관계를 매개하는 스트레스의 영향이 소득에 따라 달라질 수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더불어 소득이 증가할수록 시간빈곤, 스트레스, 우울의 구조적 관계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경우시간빈곤으로부터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의 정신건강 문제를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정책 및 서비스 구축 방향에 있어근로조건 개선, 소득보장과 같은 사회구조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Women with children suffer from double burden of childcare and household labor. Based on the framework of social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inco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overty and mental health among women with children. The study sample included 1,505 women from the 6th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level of time poverty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stress and depression, and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overty and depression. Income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overty, stress, and depression. Time poor women were more vulnerable to poor mental health, and income buffered the effect of time poverty on women’s mental health. This implies that women in the lower end of socioeconomic ladder are more prone to the effect of time poverty. The study speaks to the importance of social factors on mental health which has usually been considered an individual problem. Policies and services need to address women’s working conditions and income security in order to increase their mental health.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Sul Ki photo

Chung, Sul Ki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