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시공간구조 유형과 환경요소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Empirical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Forms and Environmental Factors

Authors
서원석김리영
Issue Date
Dec-2013
Publisher
한국지역학회
Keywords
Spatial Concentration; Environment Quality; Urban Spatial Form; Energy and Resource Consumptions; Air Quality; 공간집중; 환경질; 도시공간구조; 에너지 및 자원소비; 대기질
Citation
지역연구, v.29, no.4, pp 3 - 19
Pages
17
Journal Title
지역연구
Volume
29
Number
4
Start Page
3
End Page
1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9217
ISSN
1225-0740
Abstract
이 연구는 도시의 공간적 집중수준이 에너지소비, 대기질, 그리고 자원소비를 중심으로 한 환경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시의 분산 및 집중수준을 기초로 한 공간구조 유형과 환경요소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 및 Kruskal-Wallis 비모수검정을 이용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국내 82개 도시의 밀도, 집중분산수준, 단다핵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공간구조를 네 개의 유형(다핵분산, 다핵집중, 단핵분산, 단핵집중)으로 구분해 환경요소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집중적 도시공간구조는 대기질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관계가 있다. 두 번째, 비록 대기질 측면에서는 부정적이지만 분산형 보다는 집중형 도시공간구조가 전반적인 환경질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 번째, 집중적이거나 고밀의 도시라 해도 단핵집중형인지 다핵집중형인지에 따라 환경요소와의 상관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개선효과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을 고려한 도시개발 및 관리의 바람직한 방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forms and environmental factors using Kruskal-Wallis and correlation analyses. For the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uses urban density, urban concentration, types of urban forms (multiple nuclei-dispersed, multiple nuclei-concentrated, mono nuclei-dispersed, and mono nuclei-concentrated),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nergy consumption, air quality, and resource consumption for 82 cities in Kore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centrated urban form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nergy use. Second, the concentrated urban form is also closely correlated with superior environmental quality. Lastly, although the urban form is nuclei-concentrated, it has different impacts on environmental factors between multiple nuclei-concentrated or mono nuclei-concentrated type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better urban form for environmental enhancement, so that it should be very helpful to persu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eo, Won Seok photo

Seo, Won Seok
사회과학대학 (도시계획·부동산 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