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성폭력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 of Sexual Abus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김신정박선정김성희강경아
Issue Date
Oct-2013
Publisher
한국간호교육학회
Keywords
Sexual abuse; School-Age Population; Student; Recognition; 성폭력; 초등학생; 인식
Citation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19, no.4, pp 518 - 530
Pages
13
Journal Title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ume
19
Number
4
Start Page
518
End Page
53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9397
DOI
10.5977/jkasne.2013.19.4.518
ISSN
1225-9578
2093-7814
Abstract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성폭력 교육이 학교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아동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경우가 있어, 현재의 교육 프로그램을 좀 더 체계적으로운영하며 적극적인 행동적 방법을 고려하고 연령 ․ 교육 ․ 발달수준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추 후 효과를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초등학교 중, 고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폭력 예방을 위한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2개의 초등학교 중, 고학년 아동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학대 해석하는데 무리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므로 앞으로의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좀더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가 산출될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학교 중, 고학년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성폭력 예방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한 뒤 그 효과를측정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1, 2학년의성폭력의 인식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교 중, 고학년 대상으로 성폭력 인식에 관해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Ninety thre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for content analysis on sexual abuse. Results: The content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sexual abuse was as follows: 1) The concepts of sexual abuse were ‘compulsory contact’, ‘harassment’, ‘school violence’, ‘pornography’, ‘unpleasant sexual behavior’ ‘crime’, and ‘don't know’. 2) The causes of sexual abuse were ‘intolerance of impulse’, ‘play’, ‘bullying’, ‘financial needs’,‘home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negligence of the victim’, and ‘don't know’. 3) The methods how to prevent and deal with sexual abuse were ‘sexual education’, ‘avoidance of danger’, ‘protection’, ‘self-assertion’,‘treat with kindness’, ‘strengthening of penalties’, ‘asking for help and notification’, ‘report’, ‘treatment and counselling’, ‘escaping’, and ‘don't know’ 4) Educational needs for prevention of sexual abuse were ‘more detaile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how to recognize sexual abuse’, ‘how to protect one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actical education’, and ‘non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sexual abuse, a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and content should be organize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 Department of Nurs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g Hee photo

Kim, Sung Hee
적십자간호대학 (간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