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역세권 주거지 상업화의 특성 분석을 위한상업시설 분류와 상업화 수치 설정-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of Commercialization Index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for the Commercializati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Districts in Inner-city Railway Station Area - Focused on Inner-city Railway Station Area, Seoul -

Authors
양우현윤용석
Issue Date
2013
Publisher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Keywords
주거지; 상업화; 상업시설 분류; 상업화 수치; 거주환경; Residential Districts; Commercialization; Classifica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Commercial Index; Residential Environments
Citation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15, no.5, pp 115 - 125
Pages
11
Journal Title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ume
15
Number
5
Start Page
115
End Page
12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9420
ISSN
1229-5752
Abstract
본 연구는 역세권의 도시공간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주거지 상업화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거주환경에 필요 정도(또는 위해 정도)에 의해 상업시설을 분류하고 이 시설이 주거지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수치로 설정한 후 이를 실제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근린생활시설을 거주환경과 관련성(기호~생존의 개념)으로 재분류한 주거지 상업시설을 생활필수 상업시설, 생활편익 상업시설, 근린활동 상업시설, 전문 상업시설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들 상업시설별 상업화 수치를 도시주거학, 도시사회학, 범죄심리학에 근거하여 생활필수 상업시설의 상업화 수치 0.6, 생활편익 상업시설의 상업화 수치 3.3, 근린활동 상업시설의 상업화 수치 8.4, 전문 상업시설의 상업화 수치 10.0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업시설의 분류와 상업화 수치를 사례지를 선정하여 검토한 결과, 도로에 인접한 필지내 표시된 주거지 상업시설의 분포 현황이 역세권 교차로와의 도로별 위치 관계에서 일반적인 또는 공통된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기 때문에 역세권 주거지 상업화 분석을 위한 상업시설의 분류와 상업화 수치 설정이 논리적으로 이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establish the commercialization index and classify commercial facilities that are necessary in order to analyze the commercializati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districts in inner-city railway station area.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memorized as follows. It re-establishes the commercial facilities based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as a substitutable facilities to improve the present legal facility classification of neighborhood facilities based on a simple area standard. It is sub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residents’ activities and neighboring life; daily necessary commercial facilities, daily convenience commercial facilities, neighborhood commercial facilities and adult commercial facilities. And it suggests the commercial index of residential environments which is imposed a weighting based on the damage degree of those facilities to residential environments in order to measure the commercial degree in residential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theories of Urban Housing, Urban Sociology and Criminal Psychology and I verify those from three cas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