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Extra Curricular Sports Activity

Authors
한정규허원석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체육교육학회
Keywords
middle school students; physical activities; ego-resilience; school adaptation; 중학생; 체육활동;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Citation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18, no.2, pp 63 - 75
Pages
13
Journal Title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ume
18
Number
2
Start Page
63
End Page
7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9620
ISSN
1229-9685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를 무선으로 선정하였으며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후 수거된 설문지중 53부를 제외한 총 297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s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에서사용된 척도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고 각 하위척도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와 사교육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간에 차이를 알아보기위해 MANOVA분석을 실시하였고,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련성을확인하기 위하여, 각 하위척도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방과 후 스포츠 활동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요인의 하위척도들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에 따른 방과후 스포츠활동참여 경험에 따라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즉 방과후 스포츠활동에서 사교육 스포츠활동참여 경험에 따라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자아탄력성요인과 학교생활적응요인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결과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라서 자아탄력성요인이 학교생활적응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방과후 스포츠활동은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방과후 스포츠활동을 활성화 하여서 청소년 시기를 정신적으로그리고 육체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ego-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whether they were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or not. A total of 350randomly selecte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53 surveys were filled out incorrectly and thus the remaining 297 surveys were used for the analysis. Cronbachs index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each of the outputted variables and the reliability was tes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windows version 18.0). M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go-resilienc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or not. Here ar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go-resilience of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Alas, this can show that participation can affect the ego-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with their ego- resilience. Third, there was a strong influence shown by the high ego-resilience according to the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The results above show that the participation of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ies has an importance effect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port Science > School of Sports Scienc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n, Joung Kyue photo

Han, Joung Kyue
체육대학 (스포츠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