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업의 기술혁신 유형에 따른 고용효과 비교분석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Types of Corporate Innovations on Employment

Authors
신범철송치웅최국현
Issue Date
Dec-2012
Publisher
한국기업경영학회
Keywords
생산공정혁신; 신제품혁신; 고용; 연구 개발비; 2단계 최소자승법;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s; New Product Technological Innovations; Employment; R&D; TSLS
Citation
기업경영연구, v.19, no.6, pp 75 - 91
Pages
17
Journal Title
기업경영연구
Volume
19
Number
6
Start Page
75
End Page
9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5788
ISSN
1229-957X
Abstract
이 연구는 동태 고용모형을 활용하여 기업의 기술혁신과 그 유형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지만 생산요소 간 대체관계에 관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CES 생산함수를 기반으로, 노동의 조정비용 뿐만 아니라 미래의 상품가격에 대한 기대 형성과정과 노사 간 임금협상에 따른 고용 결정과정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동태 고용모형을 유도하였다. 종속변수의 시차변수가 포함된 이 동태모형을 단순히 통상적인 OLS 방법에 의해 추정할 경우 내생성 문제가 발생하여 편의적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기술혁신과 고용 간 양방향 인과관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혁신을 독립변수로 간주하여 추정할 경우 내생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내생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본고는 동태 고용모형을 GMM 혹은 2SLS 추정방법을 활용하였다. 동태적 고용모형을 기반으로 기술혁신 유형에 따른 고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본고는 한국신용평가 정보(주)사 발행 2000년에서 2007년까지 재무제표 자료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08년 기술혁신활동조사 자료를 결합하였다. 기술혁신의 고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신용평가사의 재무제표 자료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기술혁신활동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패널자료를 구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신제품 기술혁신과 생산공정 기술혁신의 고용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 결과를 보면, 첫째 제품혁신은 예상과는 달리 고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공정혁신에 대한 추정계수는 모두 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생산 공정혁신이 기업의 고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제품 개발이 기존 상품을 대체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 고용 확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전체표본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추정할 경우, 그 결과는 다소 달리 나타났다.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에 대한 추정계수가 전체 표본의 결과와 달리, 대기업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제품혁신의 추정계수는 대기업의 경우 음의 부호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중소기업은 양의 부호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이 일자리 창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대기업의 경우 그렇지 못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정부의 기업에 대한 R&D 지원이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에 집중될 때 기업 수준이나 거시경제 수준의 고용 확대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question whether corporate technological innovations should displace employment or whether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employment has been debated for over two centuries. The positive effect might be realized through the compensation mechanism in economic system. In this paper we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typ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on the employment level of the firm. To do so, we derive the dynamic employment model based on the CES production function which could have more flexible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labor and capital. To estimate the dynamic employment model which might reflect both the dynamic production process and employment adjustment process, this paper employs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 methodology to control for the endogeneity of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and innovation variables. The endogeneity bias could be caused by the OLS estimation of the model which includes as regressors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and innovation variables which could affect employment reversely. To estimate the dynamic labor demand model, we set up a panel data by combining corporate financial data of the Korea Investors Servi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survey data implement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Based on the panel data, we examine comparatively the employment effects of new product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s in the dynamic labor demand framework. Empirical results show, first of all, that all estimated coefficients for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should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zero, which implies that the estimated dynamic employment model should be stable and the long-run elasticity of employment should be larger than the short-run elasticity. Second, the estimated coefficients for the capital per worker and real wage are found to be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if the firms use the capital per worker more efficiently, they would reduce employment level, rather than they would pay higher wage to workers. As expected, as the real wage rises, the firms would reduce employment in the short-run and the long-run as well. Third, the new product innovations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employment, but the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ployment. As new products are replaced with old products, the employment effect of new product innovations would not be fully realized. Further, new product innovations appear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However, the estimated resul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firms. The employment effects of new product innovations and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s are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than the large-sized ones. The estimated coefficients for new product innovations are negative for big-sized companies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positive and significant for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This means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might have positive impacts on creating employment, but those of large-sized companies might not have the affirmative imp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overnment subsidy for R&D activities to the SMEs should be relatively more effective in the expansion of employment in the firm level and macroeconomic level as well.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e, Kuk Hyun photo

Choe, Kuk Hyun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