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해안과 남해안지방 도깨비신앙의 전승양상과 그 변화The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doggabi deity beliefs o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Authors
김종대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민속학회
Keywords
Doggabi-je(Doggabi ritual); Doggabi-gosa(Shamanistic ritual to Doggabi); Sanmang(Watching Doggabi wildfire on 31 December); Goolbureugi-je(Ritual for calling oysters to village mudflats); Occupation; 도깨비제; 도깨비고사; 갯제; 산망; 굴부르기제; 생업
Citation
한국민속학, v.56, pp 41 - 65
Pages
25
Journal Title
한국민속학
Volume
56
Start Page
41
End Page
6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5827
ISSN
1229-6953
Abstract
우리나라 서해안과 전남 남해안지역에서는 도깨비를 신으로 모시는 신앙이 활발하게 전승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에는 거의 전승이 단절되거나, 다른 생업과 결부되어 전승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런 전승적 특징은 무엇보다도 어촌지역에서의 추구하는 풍어기원적 속성, 특히 고기를 몰아서 많이 잡게 해주기를 기원하는 신앙적 속성을 보인다. 그러나 연근해, 특히 갯벌에 고정망을 설치하여 어로행위를 영위하던 어민들이 전승해 왔던 도깨비고사는 거의 단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지역에서의 어획량이 급감하여 배를 이용해서 멀리까지 진출하는 어업방식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갯벌에서 행해지던 도깨비고사는 단절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어로행위가 아닌 조개 등의 채취와 관련이 깊은 갯제에서 ‘진서방’으로 부르는 도깨비고사의 흔적이 나타난다는 점이 주목된다. 전남 해안지방에서 전승되는 갯제는 여성이 제의를 주도하며, 굴부르기로 표현되는 것처럼 채취 행위로 얻어지는 대상의 많은 수확을 제의목적으로 삼고 있다. 즉 고기를 몰아주는 행위 대신에 굴을 몰아주기를 기원하는 대상으로 도깨비를 앉힌 제의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여성과 관련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졌다는 것이 기존의 견해였다. 하지만 육지에서 전승되는 도깨비제의를 보면 대개 여성과는 대립관계에 있는데, 어떻게 갯제에서는 그런 대립관계보다는 호혜관계에 있는 것인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제의의 변화와 제의 주도계층의 차이 등을 통해서 갯제가 어떤 제의와 관계를 맺고 전환된 것인지, 그런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Belief in the doggabi deity has long been a part of life o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Mudflats are a ge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se areas, and this wetland environment is a key factor in the doggabi deity beliefs. Mudflats are believed to be the habitat of the doggabi, and the ebbing tide is thought to be the sound of a walking doggabi. People believe that the doggabi controls the fish in the sea, and the villagers, who are mostly fishermen, developed rituals as a way of appeasing the doggabi deity. However, as the haul of fish gradually decreased so too did doggabi beliefs among the villagers. While doggabi rituals were transmitted until well into the 1970s, many have either integrated into other rituals or have transformed into new ones—namely gaetje, which are rituals related to laver or oyster farming. Despite these base-level changes, doggabi rituals are performed in relation to income-generating activities, and this provides evidence of old beliefs that rituals have the power to create wealth and richness. The presence of doggabi in gaetje reflects a shift in the main income source in fishing villages. Doggabi rituals were once performed by men for successful fishing excursions, but the rituals have transformed into gaetje, women’s rituals related to gathering shellfish. The transformation of doggabi into gaetje may be good evidence linking the transmission of folk beliefs in people’s lives with their occupa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