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디지털 음악 시대에서의 물리적 음반: 메이저 제작사의 경쟁 전략 탐색Physical Music Records in the Age of Digital Music : Exploring Competitive Strategies of The Major Production

Authors
추승엽임혜민임성준
Issue Date
May-2019
Publisher
한국경영학회
Keywords
Competitive Strategies of Major Productions; Physical Music Records; Digital Music Contents; Music Industry; Fandom; 메이저 음반제작사의 경쟁전략; 물리적 음반; 디지털 음원; 음악산업; 팬덤
Citation
Korea Business Review, v.23, no.2, pp 95 - 116
Pages
22
Journal Title
Korea Business Review
Volume
23
Number
2
Start Page
95
End Page
1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5941
DOI
10.17287/kbr.2019.23.2.95
ISSN
1226-4997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적 음악상품의 형태인 물리적 음반에 초점을 두고 오늘날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재편된 음악산업 환경에 대응하는 메이저 음악제작사들의 경쟁전략의 핵심요인을 탐색하였다. 오늘날 국내 음악산업은 디지털 음원시장이 급성장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음원관련 수익이 크게 감소하는 위기에 처해 있다. 반면, 이미 붕괴된 것으로 간주되었던 전통적인 물리적 음반시장은 여전히 음악산업 수익의 일정 부분을 담당하며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된 한국의 음악산업구조 전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음원을 넘어 다양한 사업영역에 걸친 음악제작사의 대응전략을 파악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한국의 메이저 음악제작사들은 디지털 음원 중심의 음악산업이 가진 수익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팬덤(fandom) 조성을 통한 아이돌스타 중심의 비음악적 활동을 포괄하는 스타 매니지먼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여 디지털 음원 외에도 다양한 수익원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물리적 음반의 존재는 ‘듣는 음악상품’이 아닌 팬덤에게 소구하는 ‘소유하는 비음악적 문화상품’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중음악 공인차트인 가온차트를 활용하여 디지털 음원 대상의 선행연구(추승엽, 현창민, 임성준, 2016)와 동일시기에 차트에 집계된 물리적 음반을 대상으로 메이저 제작사들의 전략적 패턴에 높은 기여도를 보이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통해 물리적 음반의 성공에 있어서 메이저 제작사의 유의한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강한 팬덤 구축이 음악산업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메이저 음악제작사들이 추구하는 경쟁전략의 핵심요소임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As focused on physical music records, which is a form of traditional musical product, this study explores the key factors of major music productions’ competitive strategies in response to today"s digital-centered music industry environment. Despite the rapid growth of the digital music market today, the domestic music industry is in a crisis where the profit related to digital music contents is greatly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traditional physical music records market, which has been regarded as already collapsed, still continues to grow, occupying a portion of the entire music industry revenue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rategies of music producers over various business areas other than digital music produc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music industry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profitability limitations of the domestic music industry centered on digital music, major music productions of Korea are pursuing various revenue sources by building a star management business model that includes non-musical activities centered on idol stars through fandom. In this regard, physical music record is now not ‘a listening music product’ but ‘a non - musical cultural product’ owned by fandom.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Gaon chart, one of the most popular music charts of Korea, this study confirm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major music productions in the success of the physical records. In addition, i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at the strong fandom building is the core factor of the competitive strategy pursued by major music produ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im, Seong Joon photo

Lim, Seong Joon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