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대부 시조에 나타난 사회적 소통 양상 고찰 ―훈민시조와 강호시조를 중심으로―The Social Communication Patterns In the Sijo of Noblemen —Focusing on Hunmin-Sijo and Gangho-Sijo—

Authors
김성문
Issue Date
2019
Publisher
우리문학회
Keywords
사회적 소통; 소통의 양상; 소통의 의미; 하향식 소통; 상향식 소통; 강호시조; 훈민시조; social communicatio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he meaning of; top-down communication; upward communication; Gangho-Sijo; Hunmin- Sijo
Citation
우리문학연구, no.62, pp 7 - 28
Pages
22
Journal Title
우리문학연구
Number
62
Start Page
7
End Page
2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5964
DOI
10.20864/skl.2019.04.62.7
ISSN
1229-7429
Abstract
‘소통’은 인간의 언어가 체계화되기 이전부터 우리 삶에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이는 오늘날 인간이 누리고 있는 물질적, 정신적 성취를 가능케 한 가장 큰 원동력이었다. 그런데 요즈음 사회적 소통의 미흡과 부재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는 중세, 특히 조선시대의 사회적 소통의 양상을 사대부들의 시조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고, ‘溫故知新’의 측면에서 그 의미를 살핀 결과물이다. 소통은 그 범위나 성격, 피드백의 여부, 방향성 등에 따라서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되는데, 본고에서는 조선이라는 중세의 시간적 특성과 양반 사대부라는 신분적인 특수성을 감안하여 일방적 사회적 소통, 특히 상향식 소통과 하향식 소통의 두 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하향식 소통은 훈민시조에서 그 의미와 양상을 확인하였다. 훈민시조는 당대의 주요 이념인 유교도덕으로 백성들을 교화(治人)하기 위한 창작 의도를 가지기 때문에 인간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일반 백성에게까지 확대․공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왕조의 체제를 공고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백성들에게 단호하게 명령하거나, 혹은 솔선수범의 입장에서 유교이념에 충실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는 형식을 취한다. 다음으로 상향식 소통의 양상과 그 의미는 강호시조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훈민시조에 비하여 교술성보다는 서정성이 강화되는 강호시조는 양반 사대부들이 정치 현실에 대한 애착(修己)을 연군이나 애군의 심정으로 노래한 경우로, 이 또한 조선왕조 체제의 원리를 긍정하는 면모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중세 양반 사대부들은 문학을 활용해서 끊임없이 사회적 소통을 시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과거를 통해서 현재를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비한다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Communication”has had an important meaning in our lives well before human language was organized, and has been the greatest driving force behind the material and spiritual achievements enjoyed by humanity toda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lack of social communication is causing various problems these days.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Middle Ages, especiall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an analysis of the ancestral work of four generations, and of the meaning of the book. Communication has various dimensions, depending on its scope or nature, whether it is feedback or direction.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focused on two dimensions: one-sided social communication, especially bottom-up communica tion, and one-sided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medieval time of Joseon and the identity of the ambience of the cross-strait communication. First, top-down communication confirmed the meaning and aspect of communication in Hunmin-sijo. The Hunmin-sijo aims to consolidate the system of dynasties by extending and sharing the relevant principles with the general public, as it has the creative intention to educate the people through Confucianism—a major ideology of the time. To achieve this goal, it is either the form that shows a firm order to the people or a willingness to stick to the Confucian id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loist. Next, the form and meaning of upward communication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Gangho-sijo. Gangho-sijo, who is stronger in lyricism than the Hunmin-sijo, confirmed that the aristocrats sang their attachment to the political reality with the sentiment of Yeon-gun or Ae-gun, which also affirmed the principles of the Joseon Dynasty. As such, it can be seen that medieval aristocrats used literature to constantly try to communicate with society. This suggests a lot in terms of diagnosing the present through the past,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based on i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ong Moon photo

Kim, Seong Moon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