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회-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공간계획방향에 관한 연구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chool Space through Socio-Spatial Network Analysis

Authors
전영훈김윤영
Issue Date
2019
Publisher
대한건축학회
Keywords
공공건축; 사용자 참여; 사회-공간 네트워크 분석; 초등학교; 공간구성; Public Architecture; Users' Participation; Socio-Spatial Network Analysis; Elementary School; Spatial Composition
Citation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35, no.5, pp 21 - 30
Pages
10
Journal Title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ume
35
Number
5
Start Page
21
End Page
3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020
DOI
10.5659/JAIK_PD.2019.35.5.21
ISSN
1226-909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학생)의 의견을 기존의 표준화 된 초등학교 공간계획에 반영하여 새로운 공간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사회-공간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활동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초등학교 공간 계획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인접중앙성 분석, 사이중앙성 분석, 거번-뉴먼 클러스터링 분석 및 컨커 분석을 통한 각 중심성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도를 활용하여 일반교실과 특별실을 하나의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둘째, 홀과 로비를 활용하여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 실내공간에서 체육활동이 가능한 소규모 공간을 조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표준화 된 초등학교 공간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교설계 계획 단계에서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new space plan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user (student) in the existingstandardized elementary school space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using socio - spatial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new elementary school space planning through the results. We analyzed the results of each centrality by using the analysis of closeness analysis, betweeness analysis, girvan-newman clustering, andconc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planned to use the classroom and the special room as one areaby utilizing the corridor. Second, it should be planned that the outdoor space and the indoor space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byutilizing the hall, the lobby and the classroom. Third, the school should create a small space where physical activity is possible in anindoor space of the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standardized elementary school spac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reflect theopinions of the users in the school planning stag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 Young Hoon photo

Jeon, Young Hoon
공과대학 (건축학)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