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연근무제 활성화의 선행변인 및 결과변인에 관한 연구: CEO의 성평등 지원, 가족친화문화, 조직성과 및 이직의도를 중심으로A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CEO’s Gender Equitable Support, Family Friendly Cultur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urnover Intention

Authors
이수연김효선
Issue Date
Feb-2019
Publisher
한국인사관리학회
Keywords
CEO의 성평등 지원; 유연근무제; 조직성과; 이직의도; 가족친화문화; 가족친화인증; CEO’s gender equitable support; flexible work arrangements; family friendly cultur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urnover intention; family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Citation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43, no.1, pp 169 - 193
Pages
25
Journal Title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ume
43
Number
1
Start Page
169
End Page
19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541
DOI
10.36459/jom.2019.43.1.169
ISSN
1229-3520
Abstract
최근 많은 조직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근로자와 조직 모두의 이익이 충족되 는 제도의 성공적 정착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역동적 메커니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CEO의 성평등 지원이 유연근무제 활성화와 가족 친화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조직적 특성이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성과와 이직의 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업의 545명의 자 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CEO의 성평등 지원이 높을수록 근로자 가 유연근무제가 활성화되고 있다고 지각하였고, 가족친화문화의 수준도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연근무제 활성화 정도는 가족친화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유연근무제 활성화 정도는 조직성과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는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지 못하였고, 가족친화문화만이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유연근무제 활성화와 조직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다는 것을 보여주어서 유연근무제가 조직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 및 한계점은 논의에 제시하였다.
Working hours and work-life balance for employees ar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organization these days. Many Companies are adopting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flexible work arrangements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pecifically, we investigate the role of CEO support for gender equity on family friendly culture and the utiliza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 We also investigate how the three variables jointly affect perceived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perfor- ma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545 respondents who worked in 7 Korean companies. We appli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EO’s support of gender equity increases both the utiliza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family friendly culture. Futhermore, the utiliza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creased family friendly culture. Finally, we foun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flexible work arrange- ment and family friendly culture where the effect of CEO’s support of gender equity on perce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urnover was mediated by the increased use of flexible work arragement and by family friendly cultur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o Sun photo

Kim, Hyo Sun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서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