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금기어 속에 내재된농촌과 어촌의 생태민속 비교-민속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A Comparative Study of Ecological Folklore Reflected in Taboo Language of Agricultural Regions and Fishing Villages-Focusing on Sustainability of Folk Culture-

Authors
박환영
Issue Date
2018
Publisher
비교민속학회
Keywords
ecological folklore; eco friendly culture; morphological taboo phrases; euphemistic words; sustainability of folk culture; 생태민속; 친환경문화; 통사적 금기어; 완곡어법; 민속문화의 지속가능성
Citation
비교민속학, no.67, pp 9 - 33
Pages
25
Journal Title
비교민속학
Number
67
Start Page
9
End Page
3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583
DOI
10.38078/ACF.2018.12.67.9
ISSN
1598-1010
Abstract
본 논문은 금기어 속에 내재되어 있는 농촌과 어촌의 생태민속을 비교해 봄으로써 주어진 자연환경을 소중히 여기면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려는 민중들의 상생과 공생의 생태문화와 민속문화의 지속가능성을 고찰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농촌과 어촌지역의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서 발굴할 수 있는 금기어를 민속학의 시각에서 분석하여 금기어 속에 내재되어 있는 친환경문화인 생태민속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생활문화의 현장에서 수집된 금기어를 중심으로 농촌과 어촌의 생태민속을 민속문화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 보면 공통적으로는 인간과 주어진 자연환경 사이의 공존과 상생에 대한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금기어 속에 내재된 농촌의 생태민속은 친환경적인 농업에 대한 강조와 적절한 시간과 절기에 맞는 순환적 자연질서에 순응하는 농업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금기어 속에 내재된 어촌의 생태민속은 바다와 같은 자연환경에 대한 경외심과 자연환경의 보호에 대한 내용, 바다에서의 신성한 어업행위와 음식금기 그리고 출어를 앞두고 행하여야 하는 언행 및 행위에 대한 금기가 두드러진다. 또한 농촌지역과 어촌지역의 금기어는 부분적이지만 생태민속이 지향하는 친환경적이고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는 민속문화를 지속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어촌지역의 금기어에는 통사적 금기어 외에도 특정한 어휘나 언어표현을 꺼리는 금기어 즉 완곡 표현의 내용도 많이 들어 있다. 즉 어촌지역의 금기어 중에서 ‘배를 타면 피, 뱀, 소, 시체 등을 직접 부르지 않는다’ 속에는 ‘---하면 불길하다’와 같은 통사적 금기어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서 피는 ‘고운기’, 소는 ‘노랭이’, 시체는 ‘재수 없는 야인’, 뱀은 ‘긴 것’, ‘대맹이’, ‘긴놈’ 등으로 에둘러서 간접적으로 말하는 완곡어법도 많이 기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에 농촌지역의 금기어가 주로 조건절과 결과절을 가진 통사적 금기어이다. 따라서 농촌의 금기어는 통사적 금기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어촌의 금기어는 통사적 금기어와 완곡 표현을 가진 금기어로 구성되어 있어서 민속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좀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comparing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concerning taboo terms and phrases. Taboo terms used in agricultural regions and fishing villages often reflect ecological folklore. Also those taboo terms emphasize the coexistence and symbiosis of the villager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nature. Some findings and cultural interpretations of taboo terms in both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re as followed. Firstly, the ecological folklore of agricultural regions embedded into taboo phrases is about not only eco friendly agriculture but also about the circulating system of nature. Secondly, the ecological folklore of fishing villages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agricultural villages. For instance, fishermen have taboo terms for their feeling of awe toward nature, for reservation of nature, sacred fishing activity, avoiding special food and particular words for restrictive behaviour before sailing out. However both in agricultural regions and in fishing villages taboo terms play a partial role to sustain folk culture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eco friendly environment as well as observance of the cycle of nature. Furthermore, in fishing villages, there are not only morphological taboo phrases but also many kinds of euphemistic words. Some of euphemistic words in the fishing villages are ‘goungi (blood)’, ‘noraengi (cow)’, ‘long creature (snake)’, ‘unfortunate wanderer (corpse)’, etc. In comparison, morphological taboo phrases are mainly used in agricultural villages. Henc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aboo words and phrases in fishing villages are more actively used and have a more constructive function than those of agricultural villag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Hwan Young photo

Park, Hwan Young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