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영상저작물의 일부 디자인에 대한 법적 연구 -저작권과 디자인권의 경합을 중심으로-A Legal Study on a Design Contained in a Cinematographic Work - Focused on Interplay Between Copyright And Design Right

Authors
이규호오혜민
Issue Date
2013
Publisher
한국정보법학회
Keywords
영상저작물; 디자인; 저작권; 국제재판관할;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 역외적용; cinematographic work; copyright; design; international jurisdiction;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 industrial product
Citation
정보법학, v.17, no.1, pp 107 - 137
Pages
31
Journal Title
정보법학
Volume
17
Number
1
Start Page
107
End Page
13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643
ISSN
1598-5911
Abstract
미국의 경우 특허법상 규정되어져 있는 디자인에 기인하여 공산품(industrial product) 을 보호하고 있으나 ‘분리가능성’이론에 의거하여 디자인의 창조적인 미적 요소가 기능적인 부분과 분리 가능하게 된다면 저작권으로도 창조적인 부분을 보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공산품(industrial product)을 보호하는 여러 가지의 법리가 존재하고 있으나 저작권과 디자인권의 중첩 보호의 부분에 있어 1988년 영국 「저작권, 디자인 및 특허법」에 의거하여 미술공예저작물에 합치될 경우 저작권과 디자인의 보호를 중첩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기본적으로 미술저작물은 미술공예품을 포함한다는 법 규정이 존재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저작권에 포섭되기 위한 공산품(industrial product)은 순수미술(fine art)로서 저작권법의 보호범위에 들어갈 정도의 고도의 창작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한정하여 저작권과 디자인권 의 중첩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 범위가 매우 좁다. 중국의 경우 실용품으로서의 내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예술성(artistic quality)과 창작성(originality)을 가지고 있다면 저작권적인 보호와 전리법상에서 인정하고 있는 디자인 특허의 범위에서 모두 보호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00년 저작권법 개정 이전에는 저작권과 디자인보호법의 중첩적인 보호의 범위를 좁게 판단하려는 경향이 존재하였으나 이후 공산품(industrial product)이 저작권법의 성립요건과 디자인보호법상의 디자인의 성립요건이 모두 존재하게 된다면 이들 모두를 중첩적으로 보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하 모든 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디자인권의 보호기간이 저작권법의 보호기간보다 짧으나, 중첩 보호가 되는 대상에서는 디자인권의 보호기간이 만료된 이 후에도 저작권법의 보호기간을 향유할 수 있다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들은 영상디자인의 일부 디자인을 주체로 한 경우의 법적인 부분에 있 어 판단 근거와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논의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국은 이미 저작권과 디자인권의 중첩보호 문제에 대 한 논의를 지속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각국의 판단 또한 존재한다. 이에 대한 현행 법과 판례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저작권법의 보호범위로서의 응용미술저작물(work for applied art)과 디자인의 근본적인 구별에 입각하여 구분을 지었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에는 저작권과 디자인권의 법적인 차이점을 보완하여 중첩 보호를 인정하면서도 법적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자 하는데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아울러 영상저작물내 디자인과 관련된 국제소송은 국제재판관할, 준거법 지정, 외 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 외국법의 역외적용 등의 국제사법적 쟁점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현명한 대처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aw School > Law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Gyoo Ho photo

Lee, Gyoo Ho
법학전문대학원 (법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