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설 원작 영화를 활용한 리터러시 교육 모형 연구A Study on a Literacy Education Model Using Movies from the Original Novel

Authors
강유진
Issue Date
2018
Publisher
우리문학회
Keywords
Literacy Education Model; Movies from the Original Novel; Media literacy; Visual literacy; Literacy; Discourse type; Image generation; Z generation; 리터러시 교육 모형; 소설원작 영화; 미디어 리터러시; 비주얼 리터러시; 문식성; 담화 유형; 영상세대; Z세대
Citation
우리문학연구, no.59, pp 59 - 84
Pages
26
Journal Title
우리문학연구
Number
59
Start Page
59
End Page
8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93
DOI
10.20864/skl.2018.07.59.59
ISSN
1229-7429
Abstract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련한 글쓰기 교육은 영상의 보조적 활용에 그친 경향이 있어 왔으며 대표적으로 영화 감상문/비평문 쓰기의 형태로 가장 많이 이루어져 왔다. Z세대는 이른바 영상세대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교육은 기존의 교육 방식에서 전면적으로 다른 방향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현재 리터러시는 언어를 표현 수단으로 하는 글 중심의 해독력이 아니라 언어를 매개로 한 복합적 인지, 사고, 표현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리터러시 교육은 글, 영상, 이미지 등의 표현 방식을 넘어서서 각각의 표현 수단에 맞는 표현의 방식을 교육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궁극적으로는 표현 방식을 막론하고 이를 활용한 언어적 인지, 사고, 표현 능력을 향상하는 데 목적으로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영상세대가 갖고 있는 글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것이다. 이는 영상과 글이 모두 선형적인 인지, 사고 과정의 언어적 행위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글쓰기를 통해 영상 자료를 글로 옮기는 것에 주목하는 교육 모델을 통해 가능하다. 본 교육 모형은 담화 유형 중 ‘설명/ 묘사/ 서사/ 논증’에 해당하는 소설 예문을 영상으로 전환하고, 영상을 다시 글로 전환하는 실습을 통해 글과 영상의 표현에 나타나는 차이를 익히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이 영상으로 전환되었을 때의 의미와 표현 방식의 차이/유사성을 체험 학습하고 문자와 영상의 통합적 읽기(decoding)와 쓰기(encoding)를 수행할 수 있다.
In ​​writing education related to media literacy, images have tended to be used as supplementary devices. Typically, film appreciation / criticism writing can be referenced. The Z generation is a so-called video generation and writing education for these students needs to be taken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that which is provided by existing teaching methods. Currently, literacy is defined as a complex cognitive, thinking, and expression process mediated by language, not a writing-oriented ability to interpret language as a means of expression. In this sense, literacy education should focus on education as a way of developing expressive capabilities that are appropriate to each mode of expression, beyond writing, image, and video. Ultimately, it should aim to improve language, thinking, and expression, regardless of the way they are represented. To accomplish this, instances in which writing is rejected by the generation which favors images must be reduced. This is possible through an educational model which focuses on the transfer of image data through writing, based on the fact that both image and text are linear, cognitive, and linguistic parts of the thinking process. This educational model focuses on providi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texts and images through hands-on conversions of novels corresponding to ‘Explanation / Describe / Narrative / Demonstration’ do. Through this approach, students can experience the difference / similarity between semantics and expressions when texts are converted into images and perform integrated reading (decoding) and writing (encoding) of texts and imag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a 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ang, Eu Gene photo

Kang, Eu Gene
교양대학 (교양대학)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