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인의 사생관에 대한 실증적 조사 연구Koreans' Views of Life and Death: Results from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Survey

Authors
박재현김석호이민아심은정정혜주
Issue Date
Nov-2011
Publisher
한국조사연구학회
Keywords
views of life and death; death; suicide; afterlife views; death anxiety; death concern; will of suicide inhibition; 사생관; 죽음; 자살; 내세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자살억제의지
Citation
조사연구, v.12, no.3, pp 95 - 121
Pages
27
Journal Title
조사연구
Volume
12
Number
3
Start Page
95
End Page
12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6987
ISSN
1229-9219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사생관의 정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사생관의 주요 차원들인 내세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자살억제의지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제시하며, 사생관의 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된 2009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내세지향성과 죽음관여도가 높았다. 둘째, 연령은 현세회귀성,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자살억제의지 등 내세지향성을 제외한 모든 사생관 항목에 영향을 미쳤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현세회귀성과 죽음불안은 낮아지는 반면, 죽음관여도와 자살억제의지는 높아진다. 셋째, 한국인의 사생관의 형성과 가장 밀접히 관련이 있는 요인은 종교이다. 불교를 믿는 사람은 현세회귀성이 높고 개신교를 믿는 사람은 현세회귀성이 낮았다. 내세지향성과 관련해, 종교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내세지향성을 보였다. 특히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의 내세지향성이 두드러진다. 또한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은 높은 죽음불안 수준도 가지고 있었다. 넷째, 행복감과 사회적 관계는 죽음관여도와 자살억제의지에만 영향을 미쳤다. 즉 행복하다고 자주 느끼고 풍부한 사회적 연결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일수록 죽음에 대해 덜 생각하고 자살의 위험에 덜 노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마지막으로 향후 죽음이라는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생관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접근과 타당화된 도구의 개발을 통해 사생관 차원간의 인과적인 관계를 밝혀낼 수 있는 연구설계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Koreans' views on the life and death and to illumin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subscales. The subscales are composed of afterlife views, death anxiety, death concern, will of suicide inhibition. Data drawn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collected in 2009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favorable attitude towards afterlif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favorable attitude towards returning to this life. The favorable attitude towards returning to the present lif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ath anxiety while it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will of suicide inhibition. The favorable attitude towards afterlif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ath concern and will of suicide inhibitio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have negative impact on death concern while the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ill of suicide inhibi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ll subscales of views on life and death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mselves and are also correlated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which means that we have to comprehensively look inside the views on the life and dea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creasing suicide among Koreans. Further studies need approaching Koreans' views on the life and death by using more validated tools to capture their holistics pictur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in Ah photo

Lee, Min Ah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