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지자체 공공청사의 공간조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Evolution of the Spatial Organization appeared in Local Government Buildings in Korea

Authors
최윤경현창용
Issue Date
2011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Keywords
Spatial Structure; Government Building; Openness; Spatial Depth; 공간체계; 공공청사; 열림; 공간전이단계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0, no.6, pp 36 - 43
Pages
8
Journal Tit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20
Number
6
Start Page
36
End Page
4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7337
ISSN
1229-7992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청사의 접근성은 공간구조의 개방성을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그것을 공공청사가 공공성을 확보하는 가장 기초적인 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공청사의 구성요소를 유형화 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대별 5개 사례씩 선정된 공공청사 공간의 대민공간을 단순화, 공간체계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각 사례 별 방문객이 목적공간에 도달하기까지 이용자가 거처야 하는 의사선택점 수의 상대적 값을 도출, 공공청사 공간구조의 개방성을 시대적, 정량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공공청사 공간구조를 도식화, 분석해 본 결과 최근의 사례일수록 전체 의사결정점의 총 수가 증가하고 각 목적공간에 도달하는 데 거쳐야 할 의사결정점의 수 역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최근의 사례로 올수록 공공청사의 건축규모가 증대되고 프로그램이 복합회됨에 따라 많은 의사결정점이 발생하여 방문객이 거쳐야 할 물리적 전이단계가 많아짐을 의미한다. 2)본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공공청사의 공간구조적 개방성은 각 사례간 상대적 비교분석이 가능할 때 의미가 있으며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사례는 계획시점에 있어 30여년의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건축면적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방문객이 체험하게 되는 의사결정점의 절대값으로 그 개방성을 판단할 수 없으며, 전체 공간의 의사결정점 수 대비 목적공간에 닿는 데 필요한 의사결정점 수의 비율을 산출, 상대값을 도출하였다. 3)그 결과, 최근의 사례로 올수록 전체대비 각 목적공간에 도달하기까지 필요로 하는 의사선택점 수의 비율이 감소하는 추세임이 드러났다. 이는 건축규모의 확장, 프로그램의 복합화로 인해 공간 내 발생하는 전체 의사결정점의 수는 증가할 수 밖에 없으나, 전체 공간에 대응하는 대민 서비스공간의 깊이가 점점 얕은 단계로 계획되는 경향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공간구조적 측면에서 개방성에 대한 고려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공공청사 건축의 공공성이 단순한 대민프로그램의 삽입만이 아니라 시민들에게 물리적 개방성을 제공하는 공간조직으로 계획되었을 때 공공영역에 존재하는 시설을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심리적 장벽을 낮출 수 있으며 이것이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확보의 기본이 됨을 정량적 데이터로 밝히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논의는, 현대사회가 지향할 수 밖에 없는 열린 사회, 그리고 열린 건축공간에 대한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하지만 연구의 대상이 국내 사례에 머물렀으며 시대의 경향을 대변하기에 분석의 양적 부족함이 뒤따르는 한계 역시 가지고 있다. 추후 공공청사의 공공성 구축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열린 사회의 열린 공공건축 계획의 폭넓은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presupposes that, ever since its modernization, the Korean local government buildings have undergone an evolutionary process of their spatial organizations and the process can be analyzed in terms of increased publicness of architectural space. For the purpose, fifteen examples of local government buildings in Korea a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ir plans converted into spatial diagrams measuring accessibility depth. Within these analytical diagrams, some quantitative measures such as permeability and visual connection, and the number of decision making points that visitors face on the way to their targets. The study analyzes these analytic measures of selected samples which are categorized into three chronological groups in order to search any evolutionary tendency of spatial transform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ccessibility of public functions and presumably the publicness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buildings has been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s that, to acquire architectural publicness in government buildings, not only the insertion of public programs but also the organization of open spatial structure is significant.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