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부모-자녀간 게임에 대한 인식차이 및 게임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대한 연구A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Evaluating Effects of Electronic Games, and Relevant Predictors of Conflict Around Children'S Game Use

Authors
유홍식
Issue Date
Apr-2008
Publisher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Keywords
children; game; conflict; 어린이; 게임; 갈등; 공격성
Citation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v.3, pp 65 - 94
Pages
30
Journal Title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Volume
3
Start Page
65
End Page
9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7683
ISSN
1975-8928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어린이와 부모(어머니)를 대상으로 게임에 대한 인식차이,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게임이용과정에서 공격적 행위 경험정도, 게임으로 인한 부모-자녀간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2007년 11월 서울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서베이 조사방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게임에 대한 부모와 자녀간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이 자녀들보다 게임이용량과 주이용게임의 폭력적 내용이 많은 것으로 평가하며, 게임을 유익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어머니들은 게임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들 중에서 학업성적에 가장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게임이용량이 많은 어린이들이, 폭력적 내용이 많은 게임을 하는 어린이들이 게임이용과정에서 부정적 경험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이용과정에서 어린이의 공격행위 경험은 자녀‧친구간 싸움정도, 게임이용량, 게임의 균형이용, 주이용 게임의 폭력성 등에 대한 어머니의 평가, 부모로부터의 꾸중, 주이용게임의 폭력성, 게임이용량 등과 같은 어린이의 평가와 일정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게임으로 인한 부모-자녀간 갈등은 자녀의 불균형적 게임이용, 과도한 게임이용량, 주이용게임의 폭력성, 자녀의 공격성에 부정적 영향, 학교‧학원 숙제 차질 정도에 의해 설명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u, Hong Sik photo

Yu, Hong Sik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