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판 수용인정척도의 타당화: 데이트 폭력 피해 여대생을 대상으로The Validity Study of the Validation and Invalidation Scale (VIRS) among College Women with Dating Violence

Authors
이정은이미경현명호Alan E. Fruzzetti
Issue Date
Sep-2012
Publisher
대한스트레스학회
Keywords
데이트 폭력; 심리적 폭력; 한국판수용인정척도(K-VIRS); Dating violence; Psychological violence; Korean version of validation invalidation response scale (K-VIRS)
Citation
스트레스 硏究, v.20, no.3, pp 159 - 167
Pages
9
Journal Title
스트레스 硏究
Volume
20
Number
3
Start Page
159
End Page
16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7708
ISSN
1225-665X
Abstract
본 연구는 파트너로부터 경험하는 심리적 폭력을 측정하기 위해 Fruzzetti가 미국에서 개발한 수용인정척도(validation and invalidation response scale, VIRS)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여자는 데이트 폭력경험이 있으며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346명이었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수용인정척도는 단일요인 척도로 확인되었고 문항내적 일치도(Cronbach α=.922)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파트너폭력척도와 높은 상관을 보임으로써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심리적 폭력 경험을 묻는 본 척도와 정서조절척도를 선형회귀분석한 결과 한국판수용인정척도는 정서조절곤란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R2=.05, F [1,319]=17.31, p<.000) 이성관계만족도와 선형회귀분석 결과 (R2=.29, F [1,313]=126.62, p<.000) 관계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따라서 수용인정척도는 개인이 이성관계에서 겪을 수 있는 심리적인 폭력을 측정하는 데 있어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추가적으로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피해자에게 수용과 인정이라는 구성개념을 사용하여 치료와 연구에 적용하는 방법과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yun, Myoung Ho photo

Hyun, Myoung Ho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