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사적 정체성의 현대적 의의Narrative Identity in a Contemporary Era

Authors
김유석이승하
Issue Date
2011
Publisher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Keywords
narrative identity; causal; unity; time; ethics; 서사적 정체성; 인과적; 통일성; 시간; 윤리
Citation
인문과학연구, no.29, pp 29 - 49
Pages
21
Journal Title
인문과학연구
Number
29
Start Page
29
End Page
4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7887
ISSN
2005-1263
Abstract
이 연구는 서사적 정체성의 특성을 밝히고 그 현대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야기(narrative)는 인과적 구성을 지향하고 시간의 진행을 반영한다. 경험이나 현상은 서사적 형태를 취할 때 인식될 수 있다는 관점 하에 자신을 통합된 형태로 규정하는 자아 정체성도 서사의 형태를 띤다고 보았다. 자아정체성(self-identity)이란 우선 자신을 이해하는 일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인과적 인식은 인간의 생존본능에서 비롯되었으며 이야기가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사실 자체보다도 해석이 자기 이해와 정체성에 더 중요하다는 점도 밝혔다. 서사적 정체성의 대두는 현대적인 현상이다. 신분제와 억압적인 체제가 전반적으로 사라진 이 시대에 현대인은 일방적으로 정체성을 강요받지는 않는다. 현대인은 자기 의지로 정체성을 선택해야 하는데 처한 상황은 정체성에 관한 한 그리 좋지 않다. 현대인은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고 삶의 계획과 모순되는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이러한 일관성 없는 삽화적 상태에서 일관된 자아의 정립은 더 중요해졌다. 서사적 정체성은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듯이 경험에 통일성(unity)을 부여하고, 계획을 짜나가고 싶은 욕망을 잘 설명해준다. 그런데 개인이 추구하는 이야기는 외적 기준이 없어서 우연성에 머무를 수 있다. 따라서 인생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원칙으로서 윤리가 필요하다고 주장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서사적 정체성 자체가 공유적 자아의 형태를 띤다는 점을 들어, 성급하게 윤리를 도입하는 것에 반대한다. 이 공유성이란 이야기를 생산하고 해석하는 일이 타자와의 대화에 해당되고 이 대화는 자아에 영향을 미치는 데서 비롯된다. 또한 서사적 정체성은 시간에 따른 정체성의 변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정된 자아에 몰입하는 것에서 벗어나 타자와의 공유성을 지닌다. 타인과 시간이라는 타자성을 고려하는 것은 이미 윤리성의 탄탄한 기반이 된다. 따라서 서사적 정체성은 파편적 경험에서 생긴 불안과 피로함으로 자기도취 상태에 빠지기 쉬운 현대인이 외적 기준으로 강제 받지 않은 채 지향할 수 있는 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ung Ha photo

Lee, Seung Ha
예술대학 (문예창작)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