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 탐색An Analysis and Discourse for Improving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Authors
유정애김주완황용주
Issue Date
Jun-2011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Keywords
국가 교육과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신체 활동; 체육 교육; national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 physical activity; physical education
Citation
교과교육학연구, v.15, no.2, pp 493 - 512
Pages
20
Journal Title
교과교육학연구
Volume
15
Number
2
Start Page
493
End Page
51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7972
DOI
10.24231/rici.2011.15.2.493
ISSN
1975-3217
Abstract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됨에 따라 각 교과에서는 2007년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실태에 대한 파악도 없이 다시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에 수행될 차기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초 연구의 성격으로, 2007년 개정체육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대한 문서 체제를 평가하고 그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제1차 체육과 교육과정부터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까지 8차례의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진행해 오면서 국가수준 체육과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교육과정 총론에서주어진 문서 체제에 입각하여 각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어 왔기 때문이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정책이 수시 개정으로 전환되면서 각 교과에서도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다양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문서 분석, 심층 면담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성격 항 하위 구조의구체화, 목표 항 체제의 재구조화, 내용 항 하위 요소의 다원화, 교수학습방법 항 하위 구조의 대강화, 평가 항 하위 구조의 명료화가 논의되었다. 이 결과는 차기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개선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보다발전적으로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ou, Jeong Ae photo

You, Jeong Ae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