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정책과정을 통해본 젠더와 평등개념의 제도화: 양성평등채용목표제와 국공립대 여성교수채용목표제를 중심으로Institutionalization of the Feminist Ideas of Gender and Equlity in Policy Formation: A Case Study on Affirmative Actions for Public Officers and Women Professor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Authors
김경희신현옥
Issue Date
2004
Publisher
한국여성학회
Keywords
affirmative action; equality; gender; feminist policy formation; institutionalization; 여성주의적 정책과정; 적극적 조치; 제도화; 젠더; 평등
Citation
한국여성학, v.20, no.3, pp 171 - 206
Pages
36
Journal Title
한국여성학
Volume
20
Number
3
Start Page
171
End Page
20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8353
ISSN
1226-3117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 이후 여성정책의 전략으로 채택한 성주류화가 정책과정에서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성주류화의 핵심적인 내용은 정책과정에서 성관점(gender perspective)이 통합되는 것으로, 여성주의적 개념인 젠더와 평등이 정책의 근거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200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적극적 조치인 양성평등채용목표제와 국공립대 여성교수 채용목표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정책과정의 주요 요소인 정치적 기회구조, 정책행위자와 정책네트워크, 정책도구와 이것들이 만들어내는 동학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양성평등채용목표제는 성인지적 정책네트워크의 부재와 인사정책의 양성평등 원칙을 담아내지 못한 약한 정책도구가 사용됨으로써, 평등개념을 성비균형으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정책이 만들어졌다. 반면에 국공립대 여성교수채용목표제는 성인지적 정책행위자들이 정책과정에 개입하여 정책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인사정책의 근간인 교육공무원법에 양성평등한 인사정책의 원칙을 담은 법조문을 신설함으로써, 차별에 대한 시정으로서 적극적 조치의 정당성을 담은 평등개념을 정책 안에 반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정책영역에서의 성관점 통합이라는 성주류화의 과제는 과연 제도 안에서 여성주의적 정치성이 그대로 보존되어야 하고 그럴 수 있는지, 정책이 만들어지는 제도 영역은 탈정치성을 지향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역설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결 과정이 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young Hee photo

Kim, Kyoung Hee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