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칸트와 생물학적 유기체주의Kant and the Biological Organicism

Authors
맹주만
Issue Date
2006
Publisher
한국칸트학회
Keywords
organism; biological organicism; theory of evolution; teleological causality; evolution-mechanism; gene-mechanism; teleology; mechanism; Neodarwinism; synthetic theory; 유기체; 생물학적 유기체주의; 진화론; 목적 인과성; 자연목적; 진화 매커니즘; 목적론; 기계론; 신다윈주의; 진화종합설
Citation
칸트연구, no.17, pp 245 - 278
Pages
34
Journal Title
칸트연구
Number
17
Start Page
245
End Page
27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9054
ISSN
1598-9372
Abstract
칸트의 유기체 철학은 자연과 자유의 조화와 통일이라는 그의 철학적 체계 구상 의 중심에 놓여 있다. 하지만 진화 메커니즘과 유전 메커니즘으로 무장한 현대 생물학의 관점에서 보면 칸트의 생물철학은 당연히 한계와 약점도 지니고 있다. 이런 사정을 감안할 때, 칸트의 유기체에 관한 사고는 그대로 유지 혹은 수용되기 어렵다. 이에 필자의 관심은 우리가 현대 생물학의 지배적인 관점이라 할 생물학적 유기체주의를 수용할 경우 유기체에 대한 이해와 상당 부분 맞물려 있는 칸트의 철학과 체계가 어느 정도까지 유지될 수 있는지, 그리고 생물학적 유기체주의가 그 자체로 완전무결한 견해가 아닌 이상 이를 좀 더 개선하는데 있어서 칸트의 철학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규명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목적 인과성 개념을 중심으로 접근한다. 칸트는 반성적 판단력이 고안해 낸 자연의 합목적성 개념을 목적 및 인과성 개 념과 결부시킨다. 그러나 비록 칸트가 유기체와 목적 인과성의 관계 해명을 통해서 저지른 결정적인 오류는 그가 유기체가 갖는 목적 인과성을 유기체 및 그들 상호간의 작용 원리로 한정하지 않고 이를 위계적인 자연목적의 체계와 결부시킨데 있지만, 반면에 칸트가 도입, 적용한 이 목적 인과성 개념은 유기체의 내적 현상과 유기체들의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원리로서도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나아가 이를 통해 생명체 일반은 물론 인간의 자유의지적 내지는 목적지향적 행위에 대한 통일적이면서 체계적인 생명철학을 정초할 수 있는 가능성의 일단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aeng, Joo Man photo

Maeng, Joo Man
인문대학 (철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