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거짓말이 필요한 시대 : 피터 카소비츠(Peter Kassovitz),「제이콥의 거짓말」 (Jakob the Liar, 1999)The era when we need a lie

Authors
조창현
Issue Date
2006
Publisher
한국일러스아트학회
Keywords
hope; Jacob; radio; Jews; 희망; 제이콥; 라디오; 유대인
Citation
조형미디어학, v.17, no.9-1, pp 57 - 66
Pages
10
Journal Title
조형미디어학
Volume
17
Number
9-1
Start Page
57
End Page
6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29129
ISSN
1229-5558
Abstract
본고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영화, 「제이콥의 거짓말」은 거짓말이 과연 진실보다 위대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거짓말과 진실의 관계는 분명 논쟁의 소지가 있는 것이다. 논쟁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배우들의 연기, 연출자의 해석, 작품의 전체 이념에 대해서까지 폭넓게 이루어졌으며 그 중에서도 중심인물인 제이콥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것은 작품의 이념과 관련된 가장 핵심적인 문제였다. 주인공 제이콥(Jakob Heym)은 사랑과 동정을 통해 인간을 구원할 수 있다고 믿는 인물이다. 그에게 있어서 희망이 담긴 거짓말이란 인간을 구원할 수 있는 도구인 것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가르침에 따르면, 인간이 스스로를 구원하기 위해 의지하고 믿어야 하는 것은 오직 진실뿐이다. 그렇다면 이 상반되는 두 가지 이념을 통해 영화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작품의 진정한 이념은 어디에서 찾아낼 수 있는 것인가라는 문제는 진지한 논쟁거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화는 희극과 비극이라는 이질적인 요소가 서로 연결되다가도 반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은 많은 해석적 논란을 불러일으키지만, 동시에 이념적 문제의식의 폭과 깊이를 획득할 수 있게 해준다. 이질적 장르의 혼재는 작품의 다양한 해석에 대한 객관적 이해의 단초를 마련해 주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문제가 되는 것 중의 하나는 중심적 사건이나 갈등, 이념적 아포리즘(Aphorism)으로 가득한 대화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며 이는 영화의 주제적 통일성과 일관성, 이에 대한 임의적 해석과도 관계되는 문제이다. 제이콥의 거짓말에서 우리는 유태인(Jews)들에게 희망(Hoffnung)과 유머(Humor)를 선사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의 목숨까지 버리는 순교자적 이념, 나아가서는 구원자적 이념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은 어떤 완결된 도식적 이념에 기초하여 구성된 것이 아니다. 작가의 시선은 하나의 뚜렷한 이념에서 머물지 않고 그 반대편에까지 향하고 있다. 이는 희망이 주는 위대한 가치를 얻기 위해 거짓말이라는 악마적 요소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모순에서 드러나고 있다. 결국 이 작품은 작가의 어떤 완결된 주장, 명료한 이념적 체계가 아닌 미해결의 문제의식으로 충만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Da 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