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제 파시즘 시기 시나리오에 나타난 여성과 국가 이미지The Study on the Images of Families, States, Women in the Scenarios

Authors
박명진
Issue Date
2006
Publisher
한국여성문학학회
Keywords
family; state; madam in the rear guard; parturition- machine; soldier; cyborg; 가족; 국가; 銃後婦人; 출산-기계; 戰士; 사이보그(cyborg)
Citation
여성문학연구, no.16, pp 149 - 175
Pages
27
Journal Title
여성문학연구
Number
16
Start Page
149
End Page
17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0306
ISSN
1229-4632
Abstract
이 논문은 일제 말기 상영된 영화 시나리오에 나타난 가족 , 국가, 여성 이미지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 1940년 ‘신체제’ 이후 조선의 영화는 내선일체 , 내선결혼, 聖戰 遂行과 같은 제국의 이데올로기 선전 도구로 전락하고 , 시나리오 속의 등장인물 및 내러티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왜곡된 형태로 재현된다 . 이 , 여성은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천황을 위해 戰士를 낳아야 하는 ‘출산-기계’로 규정된다. 이때 여성은 物神化된다. 여기에서 여성에 대한 출산 담론은 전통적인 가부장 이데올로기에 파시즘 이데올로기를 적용한 결과물이다 . 시나리오는 여성들에게 銃後婦人의 임무 . 한편, 시나리오 속에 등장하는 여성150 여성문학연구 16인물들은 남성보다도 강인하고 투철한 戰士 또는 가상 인물로서 재현된다 . 외형상 性差를 극복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 이는 젠더를 다양하고 복잡한 것으로 간주한 것이 아니라 피식민지인을 전시체제에 동원하기 위해 여성을 ‘擬似 軍人’으로 만든 것일 뿐이다 . 이에 따라 식민지의 여성들은 戰士, 노동자, 군인의 정체성만을 부여받게 된다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Myeong Jin photo

Park, Myeong Jin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