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CNG버스 사고원인 분석에 근거한 안전성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Suggestions for Safety Improvement of CNG Bus Basedon Accident and Failure Analysis

Authors
윤재건윤기봉
Issue Date
2008
Publisher
한국가스학회
Keywords
CNG; PHAST; pressurized cylinder; crack; explosion; safety; monitoring
Citation
한국가스학회지, v.12, no.2, pp 69 - 76
Pages
8
Journal Title
한국가스학회지
Volume
12
Number
2
Start Page
69
End Page
7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1339
ISSN
1226-8402
Abstract
2005년부터 최근까지 국내의 CNG버스 사고가 3건 보고되었다. 1차와 2차 사고의 원인은 용기 결함 및 관리 결함으로 밝혀졌고 3차 사고는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로 판명되었다. 3건의 사고의 근본원인을 분 석하여 CNG 버스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용기폭발의 파괴력을 이론적으로 계산 하고, 피해결과 예측 프로그램(PHAST)의 결과와 비교 고찰하였다. 이론적으로는 120 l, 20MPa의 메탄용 기가 폭발할 경우 최대 1.2 kg의 TNT 폭발에 해당하였으며 과압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피해결과예측 프 로그램이 이론적인 계산보다 더 큰 값을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용기폭발의 피해는 이 론적인 계산보다도 작았다. 성능기반설계 개념에 의해 설계된 CNG용기는 출고 후 성능시험이 기준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용기의 인성 확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겨울철 새벽 운행시에 취성파괴에 취약할 수 있으며, 자긴 처리 압력이 적절하지 않으면 사용중 반복 충전에 의한 피 로손상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기존 사고의 CNG 저장용기의 파열에서 주는 중요한 교훈 은 용기 폭발 직후에 화재로 전이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천연가스의 확산이 매우 빨라 점화가 용이 치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