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후기 분원리 백자철화 태토와 유약의 화학성분 및 미세구조 연구 -명·청대 백자청화와의 비교-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body of blue & white porcelain and glaze of Bunwonri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ir micro structure - Comparison between blue & white porcelain of Bunwonri and that of Ming·Ching-

Authors
김익환김예진강지윤고경신안상두
Issue Date
2008
Publisher
한국대학박물관협회
Keywords
백자청화; 번조공정; 미세구조; 분원리; 명·청대 백자청화; Blue & White porcelain; Firing process; Micro structure; Bunwonri; Blue & White of Ming·Ching
Citation
고문화, no.72, pp 83 - 113
Pages
31
Journal Title
고문화
Number
72
Start Page
83
End Page
11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1526
DOI
10.23072/kmh.2008..72.004
ISSN
1229-5302
Abstract
분원리는 조선후기 마지막관요로서 1752년 금사리에서 분원리로 사옹원의 분원을 옮긴 이래 1884년 민영화되기까지 약 130여 년간 운영되었던 요지로 가장 많은 백자청화를 제작했던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금번 백자청화의 분석연구를 위하여 분원리 백자청화 22편의 도편을 태토, 유약의 화학성분분석과 더불어 미세구조의 관찰 , 재번조 실험을 통한 번조온도의 추정 등 분원리 백자의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명·청대 백자청화의 분석데이터와 분원리 도편의 분석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태토와 유약의 화학성분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분원리 백자청화는 대체적으로 고온하에서 자화가 비교적 잘 이루어졌으나 태토의 수비는 중국에 미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과 조선의 태토조성방법의 차이점과 명·청대 번조온도가 분원리보다 높았던 원인도 밝혀내었다. 또한 분원리와 명·청대유약조성의 차이점도 알게 되었고, 명·청대유약과의 연관성도 알게 되었다. 광학현미경을 통한 태토와 유약의 미세구조분석결과 비교적 자화가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재번조 실험을 통하여 분원리 도편중 BW1-2는 약 1200℃정도에서 번조가 이루어졌음도 알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 Department of Chemist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Ahn, Sang Doo photo

Ahn, Sang Doo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