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개인-환경 합치수준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에 관한 연구A Study of Job-Satisfaction Difference by Person-Environment Fit(P-E fit)

Authors
이충원소용준김성은오세진
Issue Date
Oct-2008
Publisher
한국자료분석학회
Keywords
직무만족; 개인-환경 합치; 이직; 조직; P-E fit; Job-satisfaction; organization; tenure
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10, no.5, pp 2571 - 2581
Pages
11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ume
10
Number
5
Start Page
2571
End Page
258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1612
ISSN
1229-2354
Abstract
본 연구는 조직에서 개인-환경 합치수준에 따라서 실제적으로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그 세부적인 영역에서 어떤 항목들이 합치가 잘되고 어떤 항목들이 합치가 잘 되고 있지 않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는 크게 세 집단(개인-환경 합치집단, 개인욕구 우세집단, 환경우세 집단)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ANOVA를 통해 직무만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개인-환경 합치집단이 직무만족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적인 항목을 분석한 결과 개인-환경 합치가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은 활동성이나 사회적 지위 측면인데 반해 개인-환경 합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부분은 회사 정책이나 교육 등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actically examine to job-satisfaction difference by person-environment fit(P-E fit) in organization. A study is classified to three group(Person-Environment fit, superiority of Person needs, superiority of environment) for job satisfaction differences and then analysis of result used to ANOVA. In consequence, person-environment fit group's F-value(6.002) is higher than others and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side, result of more specific analysis shows that highest fitness is activity and social position against lowest fitness is industrial policy and educa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