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한이탈청소년들의 학교문화적응과 무용수업 적용효과Effect of Dancing Class and Adaption to School Culture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 South Korea

Authors
김승일
Issue Date
2010
Publisher
대한무용학회
Keywords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 south Korea; dance; ethnographic approach
Citation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v.63, no.63, pp 1 - 18
Pages
18
Journal Title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Volume
63
Number
63
Start Page
1
End Page
1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4092
ISSN
1598-4672
Abstract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문화기술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문화적응과 무용수업 적용효과를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주제에 따라 특기적성 무용수업에 참여한 학생 30여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하였다. 그 중 연구의 특성을 잘 대표할 수 있는 북한이탈청소년 6명, 학과담당교사 1명을 비 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유목적표집법(purposeful sampling)으로 선정하여 연구 참여자의 특정 경험이나, 환경, 현상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들은 남한사회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은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으며 불안정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문화적응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 적응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무용 수업에 대해 깊은 호감을 갖고 있지 않았으나 무용 수업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남한의 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무용 수업이 반복될수록 학생들은 무용에 흥미를 느끼며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하였고, 교사의 관심과 배려가 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무대경험을 하기 위해서 연습하고 땀 흘리는 시간들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 제언을 하고자한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무용수업이 약 6개월 정도의 한정된 기간 동안 이루어져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적응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제한적으로만 다루었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참여관찰을 통해 기존의 연구에 발견해내지 못한 여러 관점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무용수업의 프로그램 적용에 있어서도 기존의 수업운영 프로그램을 사용 하였다. 하지만 북한이탈청소년에게는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ung Il photo

Kim, Seung Il
예술대학 (무용)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