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디지털 사진 및 동영상의 융합을 이용한 이중시각화 표현에 관한 연구The Expression of Dual Visualization Using Digital Photograph and Video Convergence

Authors
이준의이원형
Issue Date
2010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디지털사진; 영상융합; 이중시각화; Digital photograph; Video Convergence; Dual visualization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1, no.6, pp 467 - 480
Pages
14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1
Number
6
Start Page
467
End Page
48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4616
ISSN
1598-8635
Abstract
현대 예술에서는 미술과 사진, 조각과 영상, 감성과 공학 등이 다양한 형태로 이종교배 되어 미디어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매체라는 의미의 '미디어'와 '아트'가 결합된 '매체예술' 즉 '미디어 아트'가 새로운 미술의 장르로 각광을 받고 있다. 미디어 아트는 다양한 콘텐츠를 가진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컴퓨터를 주로 사용하여 제작되는 예술이다. 미디어의 복제적 특징을 잘 표현한 앤디워홀의 팝아트는 산업화의 대량생산으로 인한 소비사회를 긍정적으로 반영한 반면, 1970년대 후반 나타난 미디어아트는 대중매체가 지닌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거나 미디어에 의한 정보조작 등을 비판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미디어 아트에서 가장 중요한 표현수단중 하나는 디지털사진의 변형성과 대량 복제 기술이다. 디지털 사진의 무한 복제성과 변형성은 사진과 동영상을 융합하고 조각과 사진, 회화와 사진 등의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발터 벤야민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이라는 논문에서 사진이나 영화 등의 매체가 가진 빠르고 완벽한 기계적인 복제성에 관심의 초점을 둔다. 기존 예술작품의 무한 복제로 인해 어디서나 필요에 따라 감상과 수용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로 기존의 전통적인 예술 작품이 지닌 근본적인 속성인 유일성과 원작성을 잃게 되는 것이다. 이를 벤야민은 예술작품의 “아우라의 상실”이라고 서술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디지털 작품의 이중 시각화를 위해 디지털 사진과 동영상의 융합 그리고 교차변환을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진 및 동영상의 반복, 중첩, 조화, 왜곡을 통해 디지털 사진·영상 작품의 이중시각화에 대한 방법을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s, Multimedia and Film > Department of Imaging Science and Ar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