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실버타운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행복한 노년: 사례연구Korean folk dance and its effects for the aged

Authors
김승일이현경
Issue Date
2012
Publisher
대한무용학회
Keywords
Korean folk dance; the aged; sense of happiness; passion; case study; 한국무용; 노인; 행복감; 열정; 사례연구
Citation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v.70, no.2, pp 39 - 56
Pages
18
Journal Title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Volume
70
Number
2
Start Page
39
End Page
5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4867
ISSN
1598-4672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한국무용 참여와 행복한 노년의 관련성에 대한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한국무용 참여 계기와, 한국무용을 통한 노년생활의 변화는 무엇인가? 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실버타운 내 한국무용 수강자 2명과 한국무용 전문지도강사 1명을 유목적 표집한 후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문헌조사, 서술적 설문조사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와 항시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왜 한국무용인가? 의 하위주제는 참여계기와 차별성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과거의 한국무용 경험, 젊은 시절의 관심과 공연관람 경험 등이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중 한국무용을 선택하게 된 것은 한국무용이 지니는 차별성, 예를 들어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움직임을 통한 안정감, 문화적 친근감, 세대적 공감 등의 요소가 노인들로 하여금 한국무용 프로그램을 거부감 없이 친근하게 받아들이도록 하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춤추는 행복의 하위주제는 풍요로운 노년, 열정적인 노년, 시니어의 꽃이 되다 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노년생활을 여유롭게 즐길 줄 아는 평온하고 건강한 정서적 안정을 찾게 되었으며, 새로운 열정과 활력을 쏟을 수 있는 하나의 목적을 얻게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나 이러한 경험들은 긍정적이고 밝은 성격을 유지 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여 타인에게도 밝은 인상과 건강한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정서적 안정과 생활에 활기를 주어 노인들로 하여금 성공적 노년으로의 길을 제공하는 훌륭한 매개체로서 손색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노인들의 신체적, 정서적 특징이 반영된 프로그램이 미비한 실정이다.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수요에 걸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ung Il photo

Kim, Seung Il
예술대학 (무용)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