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예술강사 참여경험을 통한 역량개발과 정서적지지 형성에 관한 목소리open accessA voice about competency development and emotional support formation through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art instructor

Authors
한민서이희수
Issue Date
Aug-2019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예술강사; 협업; 역량개발; 정서적지지; 자문화기술지; Teaching Artists; collaboration; competence development; emotional support; autoethnography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9, no.15, pp 325 - 344
Pages
20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19
Number
15
Start Page
325
End Page
34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6588
DOI
10.22251/jlcci.2019.19.15.325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이 연구는 5년간 예술강사를 하며 경험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대한 문제의식을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를 통해 강사들의 진솔한 목소리를 정책개선에 접목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예술교육의 확산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고쳐져야 할 예술강사사업 시스템의 본질적인 것들에 물음을 던지며, 교수활동을 위한 역량개발과 정서적지지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자 스스로의 경험을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예술강사와 관련된 경험과 연계하여 해석하고,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고자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일정은 2017년 12월 동료강사, 선배강사들의 인터뷰를 시작으로 2019년 2월 본 내용을 정리하였다. 기억자료와 회상자료를 주된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교육적 가치를 추구하는 실천으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강사사업은 제도적 시스템과 교육적 실천 사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시스템에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둘째, 예술강사들이 교육실천 현장에서 더 나은 수업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학교교사 또는 동료강사들과의 협업이 중요하다. 셋째, 모든 예술교육의 시작은 예술강사의 삶과 그들의 예술적 역사 속에서 탄생한다. 학생들이 ‘예술적 바라보기’ 즉, 미적인 것들에 노출될 수 있도록 예술강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때이다. 연구자는 교육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예술교육이 아닌 삶으로부터 시작되는 일상적인 내용들을 매개하는 실천으로의 예술교육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예술강사사업이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부터 들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 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roble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incorporate the sincere voice of instructors into policy improvement. This knowledge was obtained as an art instructor for five years through straightforward voice in autoethnography. In addition, it inquires the essentials of the artistic instructor business system which should be raised for the spread of art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 It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and emotional support for teaching activities. This study used autoethnograph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o explore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The research schedule began in December 2017 with interviews with fellow and senior lecturers, and the contents were summarized in February 2019. By using personal experience and recollection of materials as the main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istic lecturer project has not been able to bring into the system the speciality and experti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between institutional system and educational practice. Secondly, it is important to collaborate with fellow teachers so lessons can be improved during teaching practice. Third, the beginning of art education is born in the instructor's life and artistic history. It is when students need to be 'artistic', that is, to be interested in the instructor’s work and can be exposed to the aesthetic. The researcher emphasizes art education as a means of mediating everyday contents starting from life, not art education as a means of edu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 vivid story of the fiel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system by the art teacher busines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ee Su photo

Lee, Hee Su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