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SNS 중독 경향자의 온라인 자기개방 수준에 따른 외현적/암묵적 자존감의 차이The effects of SNS use and online self-disclosure on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Authors
서채리김지영김기호강리라이장한
Issue Date
Feb-2020
Publisher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Keywords
SNS addiction; explicit self-esteem; implicit self-esteem; online self-disclosure; SNS 중독; 외현적 자존감; 암묵적 자존감; 온라인 자기개방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v.34, no.1, pp 1 - 13
Pages
13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Volume
34
Number
1
Start Page
1
End Page
1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7670
DOI
10.21193/kjspp.2019.33.4.001
ISSN
1229-0653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 연계망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중독 경향자의 온라인 자기개방이 외현적 및 암묵적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 경향 척도를 실시하여 SNS 중독 경향 집단과 SNS 저사용 집단으로 나누고, 온라인 자기개방 설문 점수를 반분하여 SNS 중독 경향-고자기개방 집단(High addiction-High disclosure: HH) 30명, SNS 중독 경향-저자기개방 집단(High addiction-Low disclosure: HL) 30명, SNS 저사용 집단(Low addiction-Null: LN) 28명으로 총 88명을 선별하였으며, 암묵적 자존감 연합검사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암묵적 및 외현적 자존감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LN 집단에 비해 HL 집단의 암묵적 자존감은 낮았으며 외현적 자존감에선 차이가 없었다. 반면 LN 집단에 비해 HH 집단의 외현적 자존감은 낮았으며 암묵적 자존감에선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저자기개방 집단에서 낮은 암묵적 자존감을 특징으로 하는 방어적 자존감 특성을 확인한 반면 SNS 중독 경향-고자개개방 집단에서는 낮은 외현적 자존감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된 자존감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SNS 중독 경향자의 온라인 자기개방과 자존감의 하위 유형 간 차별적인 패턴을 보았고, SNS의 자기개방 수준과 자존감 유형을 고려하여 SNS 중독 예방에 효과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ang Han photo

Lee, Jang Han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