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회복지 분야의 전자정부 성숙도 수준 평가An Evaluation of the e-Government Maturity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uthors
허만형
Issue Date
Mar-2008
Publisher
한국지역정보화학회
Keywords
e-government; social welfare governance; web mature index; evolutionary stage; 전자정부; 사회복지 거버넌스; 웹 성숙도 인덱스; 온라인 서비스; 진화단계
Citation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11, no.1, pp 17 - 41
Pages
25
Journal Title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ume
11
Number
1
Start Page
17
End Page
4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7796
DOI
10.22896/karis.2008.11.1.002
ISSN
1229-134X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의 전자정부 성숙도 평가를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대한민국 전자정부에서 제공하는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내용분석과 사회복지관련 공무원, 사회복지종사자, 그리고 일반인 세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분석을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 분야의 전자정부 성숙단계는 UN의 평가처럼 높은 단계에 진입한 것이 아니라 최고 5단계 중에서 2단계에 미치지 못하였거나 2단계를 약간 넘은 수준이었다. 체감수준에서 보면 1단계를 지나 2단계 정도에 이르렀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없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단계에 있는 서비스는 많지 않았다. 대한민국 전자정부는 시민이 전자정부를 통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전자정부에 접속하면 관련 사이트를 연결해주고 관련 정부 기관, 공공기관, 혹은 민간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으로 구축되어 있다. 관련 사이트의 고도화가 전자정부의 발전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관련 사이트를 운영하는 주체와 정부당국간의 사회복지 분야 전자정부 거버넌스 구축이 전자정부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ublic Servi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