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Latent Transition Analysis(LTA)를 활용한 유아 문제행동의 개인차 및 종단적 변화 양상 파악Identific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Patterns of Longitudinal Changes i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Authors
양윤식이태헌
Issue Date
Feb-2020
Publisher
한국조사연구학회
Keywords
latent transition analysis; individual differences; longitudinal study; status change; qualitative difference; children; problematic behaviors; 잠재 전이 분석; 개인차; 종단 연구; 상태 변화; 질적 차이; 유아; 문제행동
Citation
조사연구, v.21, no.1, pp 91 - 116
Pages
26
Journal Title
조사연구
Volume
21
Number
1
Start Page
91
End Page
1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7842
ISSN
1229-9219
Abstract
유아의 문제행동은 향후 청소년기 및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유아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교육 기관 등 유아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개입 전략의 수립을 위한 전단계로서 유아의 문제행동의 개인차 및 이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잠재 전이 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활용하여 한국아동패널의 3개년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유형은 가장 심각하고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문제 계층, 사회적 위축을 보이는 위축 계층,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어 추적 관찰이 필요다고 여겨지는 관심 계층, 드러난 문제행동이 없고 가장 많은 유아가 속하는 평범 계층으로 명명하였다. 전이 확률의 추정을 통해 드러난 각 유형의 종단적 변화는, 문제행동의 수준이 줄어들거나 혹은 평범 계층이 유지되기도 하고, 문제 계층이 꾸준히 지속되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등 그 양상이 다양하였다. 또한 위축과 관심 계층은 상호 전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행동의 네 가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문제행동의 유형별로 DSM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고,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LTA를 활용한 연구의 시사점에 관하여 논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