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BSC에 기반한 청소년수련관의 평가지표 및 결과점수 분석An Analysis of the Evaluation Indices and Scores of Youth Centers Based on the Balanced Scorecard(BSC)

Authors
한지연문성호
Issue Date
Sep-2019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Keywords
청소년수련관 종합평가; 평가지표; BSC(Balanced Scorecar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Youth Centers; Evaluation index; Balanced Scorecard(BSC)
Citation
청소년학연구, v.26, no.9, pp 443 - 465
Pages
23
Journal Title
청소년학연구
Volume
26
Number
9
Start Page
443
End Page
46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8038
DOI
10.21509/KJYS.2019.09.26.9.443
ISSN
1229-698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BSC(Balanced Scorecard)를 기반으로 청소년수련관의 평가지표와 결과점수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평가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년, 2012년, 2017년의 평가지표와 결과점수를 BSC 4개의 관점인 고객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 내부업무 프로세스 관점, 재무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고객관점은 시설운영 및 안전 항목의 세부지표와 평가요소의 개수가 가장 많았고, 평가결과 점수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습 및 성장관점의 경우, 인력확보와 근무안전성 항목의 세부지표 개수는 감소한 반면, 법적인 준수 사항을 확인하는 전문성 항목의 세부지표들이 신설되었다. 이 관점의 평가결과 점수는 전문성 항목이 2009년에 비해 2017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내부업무 프로세스 관점은 기관운영 계획 및 체계 항목의 세부지표와 평가요소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평가결과 점수도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였다. 마지막으로 재무적 관점은 2012년 이후부터는 청소년활동 사업비 세부지표 하나로만 평가가 진행되었고, 지표의 산정방식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이 관점의 평가결과 점수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고객관점에 대한 정성평가 방식의 강화, 학습 및 성장관점의 항목 중 전문성을 평가하는 세부지표의 신설, 내부업무 프로세스 관점의 세부지표 간소화 및 정성평가 강화, 재무적 관점의 사업비 산정방식 다양화, 그리고 평가전담기구 설치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oon, Sung Ho photo

Moon, Sung Ho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