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러시아어 부분생격에 관한 재고찰: 자질 분석적 접근Re-analysis on Russian Partitive Genitive: VP and NP-related Feature-based Approach

Authors
김형섭
Issue Date
Jun-2012
Publisher
한국노어노문학회
Keywords
partitive; genitive; accusative; aspect; boundedness; resultativity; 부분생격; 생격; 대격; 상; 경계성; 결과성; 한정성; 양화성; 부분성
Citation
노어노문학, v.24, no.2, pp 81 - 104
Pages
24
Journal Title
노어노문학
Volume
24
Number
2
Start Page
81
End Page
10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8070
ISSN
1225-0414
Abstract
러시아어의 부분생격은 생격과 구별되는 [–한정성]과 [+양화성] 자질을 갖는 유표적 격으로, 물질이나 재료 등을 나타내는 불가산 남성 불활성체 명사에 –u 또는 –ju의 어미를 붙여 사용된다. 러시아어에서는 부분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부분생격형 뿐만 아니라, 불가산 여성명사와 중성명사는 단수 생격 형태로, 복수 가산명사는 복수 생격의 형태로 부분성 자질을 표현한다. 하지만, 단수 가산명사의 단수 생격 형태는 부분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부분성의 의미를 일반생격과 부분생격으로 표현하는 러시아어의 격체계 내에서는 부분생격의 지위는 생격의 일부 역할을 수행하는 하위부류로 간주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남성 불가산 명사의 경우에만 부분성을 나타내기 위해 유표적 격인 –u 또는 –ju 를 사용하고 나머지 명사들은 생격으로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이 간접적 증거라 할 수 있다. 부분생격의 격실현은 동사적 자질들과 명사적 자질들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동사의 상(완료상-불완료상)과 관련된 유기적 관계는 [+/–결과성], [+/–경계성], [+/–부분성], 그리고 [+/–피영향성]의 자질로 설명되며, 명사적 요소는 [+/–한정성], [+/–경계성], [+/–부분성] 등의 명사적 자질에 의해 부분생격의 사용을 설명할 수 있다. 부분생격은 완료상 동사와만 함께 사용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동사의 자질인 [+결과성]과 [+경계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반면, 부분생격은 내재적으로 [–한정성], [+양화성]의 자질을 가지며, 완료상과 함께 사용된 대격은 [+한정성]과 [–양화성] 자질을 갖는다. 이러한 동사적 자질과 명사적 자질은 독릭적으로 또는 상호적으로 사용되어 러시아어 부분생격의 실현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oung Sup photo

Kim, Hyoung Sup
인문대학 (러시아어문학)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