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대 만주본위의 민족정책과 문화충돌淸代滿洲本位的民族政策與文化衝突

Authors
이춘복
Issue Date
Apr-2012
Publisher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Keywords
多民族國家; 華夷; 夷狄; 滿洲; 滿洲本位; 民族岐視; 滿化; 反淸運動; 反淸復明; 國民國家; 다민족국가; 화이; 이적; 만주; 만주본위; 차별정책; 만화; 반청운동; 반청복명; 국민국가
Citation
다문화콘텐츠연구, no.12, pp 225 - 256
Pages
32
Journal Title
다문화콘텐츠연구
Number
12
Start Page
225
End Page
25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8140
ISSN
2092-5042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적 ‘민족’, 즉 ‘ethnic group’ 혹은 ‘ethnicity’의 개념틀을 통해, 청대 청조의 만주본위의 민족정책과 민족차별을 살펴보았다. 또한, 청조의 이 민족차별정책에 대한 한인들의 반응을 건가이전을 청대 전기로 건가 이후를 청대 후기로 나누어 한족 한인과문인들이 반응과 하층계층과 태평천국 및 신해혁명시기 한족과 만주족의 문화충돌 양상과 근대시기 민족 담론의 변화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연구결과, 청조건립에서 멸망까지 270년간 청대는 만주 본위의 민족정책과 한족을 차별하는 전 방위적 이원화 정책을 실시하였음을확인하였다. 청조는 형식적으로는 ‘만한병용’과 ‘만한일가’등 민족평등 정책을 표방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만주본위・기민분리・만한분리 및 한인에 대한 만화정책 등 일련의 민족 차별정책을 청초부터 청말까지 시종일관 유지하였다. 이러한 만주 본위의 민족차별정책은 정복자로서 만주족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통치자로써 그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정도 유효한 수단과 정책이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만주 본위의 민족차별 정책은 다양한만한간의 모순과 갈등을 초래하는 원인이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The Office of Research Affair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