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SNS상 사용자 간 ‘관계의 질’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Relationship among Users in SNS

Authors
황장선이정교임지은
Issue Date
Sep-2019
Publisher
한국광고홍보학회
Keywords
소셜 미디어; SNS; 관계; 상호작용;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척도 개발; Social Media; SNS; Relationship; Interaction; Facebook; Instragram; scale development
Citation
광고연구, no.122, pp 5 - 36
Pages
32
Journal Title
광고연구
Number
122
Start Page
5
End Page
3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8445
DOI
10.16914/ar.2019.122.5
ISSN
1227-8181
Abstract
SNS는 이제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확장성과 사회적 영향력은 다른 미디어와는 차별화된 고유한 영역을 갖게 되었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확장은 SNS를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활발한 매체로 만들어 주었다. 태생적으로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매체라는 특성이 있지만 사용자규모의 확대로 인해 기업의 소비자 대상 커뮤니케이션 채널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현상은 이제 매우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SNS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관계(relationship)’라는 현상에 대해 초점을 두고, 이것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실증적인 측정을 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 인식을 갖고 출발하였다. 기업ᐨ소비자 간의 관계에 대해 기존의 관계마케팅 영역에서 관심을 갖고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만, SNS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간의 관계에 해당하는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플랫폼이라는 점을 중시하여 본 연구는 사용자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그 ‘관계의 질(Qualityof Relationship)’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전문가 인터뷰, 사용자 FGI 등을 통해 최초 90개의 항목을 추출하였으며, 두 차례의 전국 단위 각 500명의 샘플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통해 정제화 과정을 거쳐 ‘관계의 질’을측정하는 척도 4개 요인, 22개 항목을 개발하였다. 구성 요인들은 ‘친밀’, ‘관심’, ’연계’,‘매력’ 등이며, SNS상 ‘관계의 질’의 변량 68.39%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측정 문항들은 신뢰도 검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거쳐 수렴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 Economics > Department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wang, Jang Sun photo

Hwang, Jang Sun
경영경제대학 (광고홍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