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Decision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n Housing Mobility Intention: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through the Case of USA주택이동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결정요인 분석: 미국사례를 통한 한국의 주택정책 방향

Authors
Seo, Won-SeokYoon, Eui-Young
Issue Date
May-2011
Publisher
한국주택학회
Keywords
주택이동; 주거환경; 주택 및 도시정책; Housing Mobility; Residential Environments; Housing and Urban Policy
Citation
주택연구, v.19, no.2, pp 151 - 170
Pages
20
Journal Title
주택연구
Volume
19
Number
2
Start Page
151
End Page
17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39312
ISSN
1226-267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cision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causing housing mobility intention based on the case study of Franklin County, Ohio, U.S.A., and to suggest the housing and urban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through the foreign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 three findings. First, residents much consider the physical condition of house rather than service, proximity, and cost. Second, property values have a great impact on the residential moving intention, indicating that higher satisfaction for property values decrease the housing mobility intention. Third, the mobility intention is more associated with physical environments than social environm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housing and urban management policy direction for Korea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should more concentrate on the urban design strategy. Second, it is important the government's role to prevent public and semi-public area dilapidation. Third, the governments should give stricter responsibility to residents for cleaning the private area, in a way of legislating code enforcement law. Fourth, neighborhood watch program collaborating with community based citizen association is very important not only clean community but also safe community. Overall, this study shows the rol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n the neighborhood and community cycle. They also inform the directions of limiting neighborhood decline and alleviating and mitigating neighborhood and community cycles, specifically during periods of neighborhood decline.
본 연구는 미국 오하이오주의 주도인 프랭클린 카운티를 대상으로 이질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주거환경과 주택이동 의향의 관계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이질적으로 변모할 한국의 주거환경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주택 및 도시관리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랭클린 카운티를 대상으로 한 근린지구 만족도에 대한 1,821명의 주택소유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주택이동 의향과 주택과 근린환경을 포함하는 총 31개의 설문항목을 이용해 군집분석과 주택이동 의향을 종속변수로, 군집분석을 통해 얻어진 다섯 개의 군집요인을 독립변수로 하는 군집요인 로지스틱회귀분석, 그리고 30개의 개별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개별변수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해 군집 및 개별 주거환경이 주택소유자의 주택이동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의 주택 및 도시관리 정책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양한 주거환경 요소들 중 주택의 상태 또는 질적수준이 주택이동 의향의 정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곧 주택소유자들이 다른 요인보다는 주택의 물리적인 수준에 대해서 만족을 느끼지 못할 경우 이주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보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또한 주택의 규모와 주택가격 등도 주택이동 의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결정인자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주택이동 의향을 결정짓는 주거환경은 사회적인 요소보다는 물리적인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개별주택에 대한 선호현상이 높은 미국의 주택이동 의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향후 미국 및 서구선진국과 같은 주택선호 현상이 나타날 한국의 주택 및 도시관리 정책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개별주택의 다양성과 조화성을 함께 담보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 전략이 좀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강력한 공공지역 관리방안의 수립을 통해 물리적 쾌적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세 번째, 개별주택지 또는 사유지에 대한 관리방안의 제정을 통해 사유지에 대한 이기적인 관리 또는 부실관리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근린지역 관리 및 도시환경 개선에 대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 내 시민단체와 공공부문의 협력관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eo, Won Seok photo

Seo, Won Seok
사회과학대학 (도시계획·부동산 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