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아들의 도덕적 판단 및 도덕적 정서에 대한 연구: 도덕적 책무유형 및 위반자 구분을 중심으로Young Children’s Moral Judgments and Moral Emotions by Type of Moral Duties and Transgressor

Authors
이승하
Issue Date
Oct-2016
Publisher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Keywords
도덕적 책무; 도덕적 판단; 도덕적 정서; 해피 빅티마이저; moral duties; moral judgments; moral emotions; happy victimizer
Citation
유아교육학논집, v.20, no.5, pp 401 - 420
Pages
20
Journal Title
유아교육학논집
Volume
20
Number
5
Start Page
401
End Page
42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0780
ISSN
1229-5809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의 도덕적 판단 및 도덕적 정서를 도덕적 책무의 유형과 위반자를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도덕적 책무는 부정적 책무, 긍정적 책무로 나누었고, 위반자는 타인일 때와 자신일 때로 구분하였으며, 도덕적 판단은 도덕적 타당성, 잘못된 정도, 판단귀인으로, 도덕적 정서는 정서예측, 정서귀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G시의 유치원 3곳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139명을 대상으로 도덕적 위반상황의 보여준 그림을 보여준 후, 1대1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적 판단에 있어서, 유아들은 긍정적 책무의 위반을 부정적 책무위반보다 덜 나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그 이유를 도덕적으로 추론하였다. 두 번째, 도덕적 정서예측 및 정서추론에 있어서 유아들은 도덕적 책무의 위반자가 타인일 경우에는 긍정적으로 추론하여 해피 빅티마이저(happy victimizer)현상을 나타낸 반면, 자신일 경우에는 부정적인 정서로 추론하였다. 도덕적 정서귀인은 위반자가 타인일 경우에는 탐닉적으로, 자신일 경우에는 도덕적으로 추론하였다. 또한, 부정적 책무위반이 긍정적 책무위반보다 도덕적으로 정서를 예측하고, 그 정서를 도덕적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들은 도덕적 판단과 정서를 다른 방식으로 추론하고, 위반자가 타인일 때와 자신이라고 가정했을 때 그와 관련한 정서 역시 다르게 추론하며, 이 또한 책무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됨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도덕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ung-ha photo

Lee, Seung-ha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