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세대불평등 담론의 정치적 계보와 의미론: ‘386’ 담론의 구조와 변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1990~2019년Political Genealogy and Semantics of the Discourses on ‘Inter-generational Inequality’: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hange of the ‘386’ Discourses, 1990-2019

Authors
신진욱
Issue Date
Jun-2020
Publisher
비판사회학회
Keywords
386; generation; discourse; genealogy; critical discourse analysis; 386; 세대; 담론; 담론사; 계보학; 비판적 담론분석
Citation
경제와 사회, no.126, pp 407 - 442
Pages
36
Journal Title
경제와 사회
Number
126
Start Page
407
End Page
44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1810
DOI
10.18207/criso.2020..126.407
ISSN
1227-1373
Abstract
2019년의 ‘조국 사태’를 계기로 해서 ‘386 세대’에 대한 비판 담론이 언론매체에서 크게 확산되었다. 이 담론은 ‘386’이라는 집단범주에 한편으로는 ‘민주화,’ ‘진보,’ ‘평 등,’ ‘정의’ 등의 가치 언어를, 다른 한편으로는 ‘기득권,’ ‘불평등,’ ‘위선,’ ‘이중성’ 등 의 부정적 언어를 연결시킴으로써 특정한 사회적 의미구조를 응축하게 되었다. 이 연구 는 ‘386 세대’ 담론이 처음 등장한 1990년대 이후 지난 30년 동안 이 담론이 과연 언 제, 어떤 맥락에서, 어느 매체에서 가장 빈번히 생산되었으며, 이 담론의 상징과 의미구 조가 어떤 특성과 변화 추이를 보여주는지를 분석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86 세대’ 담론의 출현 빈도는 2000년, 2010년, 2019년에 세 차례의 대(大)고조기와 그 밖에 몇 차례의 소(小)고조기를 보였으며, 그중 압도적 다수는 ≪조선일보≫, ≪중 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의 5개 매체에서 생산되었다. 둘째, ‘386 세대’ 담론이 고조된 거의 모든 시기는 선거나 정당 일정에 따른 정치권 재 편과 세력 갈등에 관련되었으나, 오직 2019년의 ‘조국 사태’ 때에만 정치권 재편과 무 관하게 이 담론이 폭발했다. 셋째, 지난 30년 동안 대부분의 ‘386 세대’ 담론은 민주화 운동 출신 정치인 그룹에 대한 관심, 기대, 비판에 관련되었으나, 2019년에는 민주화 와 평등, 정의 등 진보적 가치를 표방해 온 정치·사회 세력 전체를 위선적 기득권 집단 으로 재현하는 새로운 담론유형이 확산되었다. 넷째, 그처럼 이념화된 세대 담론으로서 의 ‘386’ 혐오 담론은 노무현 정부 시기에 보수 언론에서 탄생해 보수정권 시기 동안 잠복해 있다가 문재인 정부 등장 이후 다시 폭발했고 진보 매체에까지 확산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Jin Wook photo

Shin, Jin Wook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