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무역 활성화를 위한 수출 바우처 제도의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The Study on Structure of Export Voucher Program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Export Expeditation

Authors
김재우선석기
Issue Date
Dec-2019
Publisher
국제e-비즈니스학회
Keywords
수출 바우처; 수행 기관; 중소기업; 수출 지원 제도;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Export Voucher Program; SMEs; Export Support System; Trade Voucher
Citation
e-비즈니스연구, v.20, no.7, pp 281 - 295
Pages
15
Journal Title
e-비즈니스연구
Volume
20
Number
7
Start Page
281
End Page
29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4527
DOI
10.20462/TeBS.2019.12.20.7.281
ISSN
1229-9936
2466-1716
Abstract
수출 바우처 제도는 그간 공공영역의 서비스를 민간 수행기관까지 확대하여 참여시킴으로서 수요자인중소기업들의 서비스 폭을 확대하여 궁극적으로 수출 기업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무역 활성화와수출 성과를 확대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5월에 도입된 수출 바우처 제도를 기존의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입의 취지와 운영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무역 활성화를 위한효율적인 방안으로서의 수출 바우처 개선 방안을 연구 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수출 바우처 제도의 분석결과, 중소기업들에게 가장 필요한 분야는 제도에 대한 충분한 이해, 사용의 편의성, 서비스 제공의 다양화가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 기관의 활성화를 통해 더 많은 공급자들을 참여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제시되었다. 따라서 중소기업을 고객으로 하는 공급자들의 수행 서비스에 대한 목적별, 사업별 및 지역별 맞춤형 서비스제공을 통한 다양한 밀착 서비스 강화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동시에 서비스이용자들에게는 수출 바우처 제도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홍보를 강화하고, 성공사례에 대한 수치적인 계량화가 필요하다. 향후 발전 방안으로는 복합적인 원스톱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기업들이 성과 창출을 위한 직접적인 전략으로서의 수출 바우처 제도의 유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충분히주지시켜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하겠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Trade & Logist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