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공도서관 공급의 효과성 분석: 이용자 수와 도서 대출권수 변화를 중심으로open accessEffectiveness Analysis of Public Library Supply

Authors
이학준이용관
Issue Date
Jun-2019
Publisher
국회예산정책처
Keywords
공공재; 공공도서관; 이용자 수; 도서 대출권수; 도서관 통계조사; public goods; public library; library users; book lending; library statistics survey
Citation
예산정책연구, v.8, no.2, pp 226 - 256
Pages
31
Journal Title
예산정책연구
Volume
8
Number
2
Start Page
226
End Page
25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4783
DOI
10.35525/nabo.2019.8.2.008
ISSN
2287-2310
Abstract
본 연구는 도서관 통계조사 2007~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공공도서관 개관이 지역의이용자 수와 도서 대출권수에 미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공급 수준을 진단하고, 정부의 재정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의 신규개관은기존 도서관의 이용자를 이전시키는 효과와 신규 이용자를 창출시키는 효과가 동시에존재한다. 이를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공공도서관의 증가는 이용자 수와 대출권수를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나, 군 지역의 경우에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공공도서관의 개관효과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고려하기 위하여 시차변수를추가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의 개관은 당기 이용자 수와 대출권수를 감소시키지만다음 기에는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전효과는 축소되고 수요를 창출하는 효과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는 지식정보의이용환경 변화 등으로 공공도서관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공공도서관의 공급은 주민의 정보와 문화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기여를 하고 있음 보여준다. 특히 공공도서관 개관의 효과성이 군 지역에서 크게 나타나 도서관 예산 배분에 있어 주민들의 도서관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공통적으로 도서 자료 수와 인구수가 이용자 수와 대출권수에 정(+)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도서관의 수요 창출과 기능 활성화에 공공도서관 및 잠재이용자 규모가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