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왕직양악대의 활동이 근대음악사회에 끼친 영향The Impact of Yiwanggik Band Activities had on Modern Music Society

Authors
이수정
Issue Date
2019
Publisher
민족음악학회
Keywords
Yiwanggijik orchestra; orchestra; milltary band; Yiwanggijik Aakbu; Tapgol Park; 이왕직양악대; 양악대; 군악대; 이왕직아악부; 탑골공원
Citation
음악과 민족, no.57, pp 11 - 50
Pages
40
Journal Title
음악과 민족
Number
57
Start Page
11
End Page
5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5040
ISSN
1225-7834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양악대가 음악 연주를 시작한 지 올해로 약 118년이 되었다. 서양 악대 도입 초창기인 대한제국에서는 1900년 군악대, 1907년 제실음악대(帝室音樂隊)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가,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이왕직양악대라는 이름으로 유지되었다. 우리나라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제국 군악대, 제실음악대와 이왕직양악대가 궁중의 공식적인 악대로 활동하였다는 점에서 근대 궁중음악 변천에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들의 활동이 궁중음악계와 대중음악계에 서양음악의 보급과 육성에 기여한 역할은 지대하였으며, 군악대와 양악대를 통해 배출된 음악인들이 각급 학교 밴드부와 사립 악단에서 음악활동을 하여 브라스 밴드를 비롯한 서양식 악대의 보급과 육성, 서양음악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그간의 연구는 양악 도입기에 해당하는 1890년-1910년의 양악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집중되었고, 양악대의 창설, 악기편성, 연주곡목 및 중요성 등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왕직양악대에 대해서는 부수적으로 간단히 언급하는 데에 그치고 있으며, 활동 내용은 거의 언급된 적이 없다. 본 연구는 이왕직양악대의 역사적 전개과정 및 조직체계, 운영 방식, 공연 활동 등을 살펴보았다. 이왕직양악대는 1911년 활동을 시작하여 1919년 해산되기까지 활동 기간이 매우 짧지만, 양악사장, 양악사, 양악수장, 양악수의 체제를 갖추고, 40-50명 내외의 악대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서양식 악대는 대한제국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정식으로 서양음악을 수용하면서 궁중악대의 일부로서 국가와 왕실의 행사를 담당하였다. 이왕직양악대는 대한제국 군악대의 전통을 이어 이왕직 장시사에 소속되어 의식에서의 음악을 담당했다. 하지만 국가 음악으로의 기능을 제대로 펼치기도 전부터 국권이 침탈되면서 역할이 축소되어 군대 음악 또는 국가 음악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일제강점기 일본궁내성과 조선총독부의 감시하에 이루어졌던 이왕직양악대의 활동은 대한제국기 군악대보다 더 왜곡되었고, 친일적인 행적을 보여주었다. 식민지하 탑골공원, 창경궁 및 공진회 등에서 일본국가인 「기미가요」와 일본 군대음악 및 일본음악을 연주해야 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대중적인 공간에서 벌어진 음악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서양음악적 이미지를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형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서양음악의 유입과 확산은 다방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양악대의 활동이 당시 한국음악계에 서양음악의 표상이 될 수는 없다. 군악대와 양악대를 통해 배출된 음악인들이 서양식 악대의 보급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고 음악적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는 점은 인정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이왕직양악대와 같은 관속(官屬) 음악인의 활동은 서양음악의 성장 과정이기도 하였지만, 식민지적 근대의 비주체적인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조직적 한계가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It is about 118 years since western music band started playing music in Korea. During the Korean Empire, which took up the early phase of the western music band introduced to the country, it was installed in the name of the Military Band in 1900 and in the name of Imperial Music Band in 1907. An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t was maintained under the name of Yiwangjikyangyakda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During the Korean modernization, the Military Band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operated as official music bands of the court. In this respect, they carried major significance for the courtly music, but they have yet to be properly studied. Their activities played a tremendous role in distributing and nurturing the western music in the Korean court music and popular music. The musicians, who were trained in the Military Band and the Western Music Band, engaged in the music activities with the bands of schools of different academic levels and private bands, thus playing a major part in distributing and nurturing the western music bands including brass band and propagating the western music. And the studies so far have focused on the western music bands between 1890 and 1910 when the western music was introduced to the country, and light has been shed on the creation of the western music band, the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repertory and its importance. However, they just touched on th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a cursory manner and never mentioned its activitie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the operation, the performanc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Following the Korea-Japan Annexation, its role was reduced, and the band could not perform its functions related to the military band and the national band. However, the western music band was responsible for officially receiving the western music into the country and was in charge of the events of the country and the royalty as part of the courtly band. The activities of the Yi Royal Household Western Music Ban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uffered further distortion than the Military Band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band had to perform Kimigayo, the Japanese national anthem, the Japanese military music, and Japanese musical works at Pagoda Park, Changgyeonggung, and Gongjinhoe during the colonial perio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School of Musi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