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나와 코헤이의 작품에 나타난 다의적 중간 지대The Polysemous Middle Zone Presented in the Work of Kohei Nawa

Authors
이문정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Kohei Nawa; PixCell; middle zone; polysemy; hybridity; 나와 코헤이; 픽셀; 중간 지대; 다의성; 혼종성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20, no.2, pp 317 - 331
Pages
15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20
Number
2
Start Page
317
End Page
33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5047
DOI
10.47294/KSBDA.20.2.24
ISSN
1598-8635
Abstract
본 논문은 나와 코헤이(名和晃平, Kohei Nawa)의 작품이 만들어 낸 다의적 중간 지대가 어떻게 고착된 관념을해체하는 사유의 가능성을 이끌어 내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이론,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 혼종성과 관련된 개념들,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논의 등이 적용되었다. 첫째, 나와의 <픽셀(PixCell)> 시리즈는 실재하는 오브제가 픽셀(pixel)화된 이미지로 전환되는디지털 시대의 현실을 반영한다. 한편 픽셀 이미지를 물질적 조각으로 환원시키는 작업 방식은 시각적이고 촉각적인 감각 경험을 강조한다. 나와는 물질의 본질, 그것을 감각하고 사고하는 인간의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재료의 물성을 부각시킨다. 결과적으로 <픽셀> 시리즈는 물질과 이미지, 신체적 감각과 디지털적 감각, 현실과 가상세계가 공존하는 사이 공간을 창조한다. 둘째, 유전자 조작으로 인한 새로운 변종을 연상시키는 <비즈(Beads)> 와 <폴리곤(Polygon)> 시리즈, 포스트휴먼 시대의 혼종적 주체를 재현한 <트랜스(Trans)> 시리즈는 인간과 비(非)인간, 기계와 유기체, 자연과 인공, 원본과 복제 사이의 대립 구조를 해체한다. 나와의 조각은 고정된 정체성을 벗어나 끝없이 변화하고 재정의되는 과정 중의 존재를 제시한다. 셋째, <리퀴드(Liquid)>, <폼(Foam)> 시리즈는 생성과 소멸이 무한 반복되는 연속체임을 직관적으로 드러내어 삶과 죽음의 영역이 완벽히 분리된 것이아님을 보여준다. 세포의 원리를 담아내는 거품의 생성과 소멸이 보여주듯 죽음은 생명을 유지시키는 필수 조건이자 세계 속 존재의 의미를 숙고하게 해주는 원동력이다. 이처럼 나와 코헤이는 이분법적 대립항으로 여겨지던실재와 가상, 물질과 이미지, 감각과 정신, 순종과 잡종, 생성과 소멸이 공존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의미를동시다발적으로 생성하는 중간 지대를 창조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polysemous middle zone, created by Kohei Nawa’s works, makes it possible to think in a way disintegrating the uniformity of notions. To this end, Rudolf Steiner’s theory, concepts related to posthumanism and hybridity,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life and death were applied. First of all, Nawa’s PixCell series reflects the reality of the digital age, where a real object transforms into pixel images. The approach of turning pixel images into a physical sculpture maximizes visual and tactile senses. He emphasizes the property of materials in order to explore the nature of matter and the human experience of sensing and thinking it. As a result, his PixCell series creates an in-between space where matter and images, physical and digital senses, and real and virtual worlds exist together. Second, the Beads and Polygon series, reminiscent of a new variety from genetic manipulation, and the Trans series, which reproduces the mixed subject of the posthuman era, 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human and non-human, machine and organism, and original and replication. Nawa’s sculptures present an existence, not fixed but constantly changing and redefining itself. Third, Liquid and Foam series show that the space of life and death are not clearly separated by intuitively revealing creation and extinction as a perpetual continuum. As the creation and burst of bubbles, the principle of cells shows that death is a necessary condition to maintain life and a driving force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existence in the world. To be brief, Kohei Nawa creates the middle zone where reality and virtuality, material and image, sense and mind, purebred and hybrid, and creation and extinction, which used to be considered confrontational, coexist and interact to generate various meanings simultaneously.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School of Fine Ar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