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60년대 이성호와 1970년대 이광수의비나리 음구조 비교 고찰 -뒷염불 음구조를 중심으로-A Comparative Study on the Sound Structuresof Binari between Lee Seong-Ho in the 1960sand Lee Gwang-Su in the 1970s -With a focus on the sound structures of Duityeombul-

Authors
박안지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민족문화학회
Keywords
Binari; Daemok Saseol; sound structure; Pyeongjo; Menarijo; 비나리; 대목 사설; 음구조; 평조; 메나리조
Citation
한민족문화연구, v.64, no.64, pp 35 - 66
Pages
32
Journal Title
한민족문화연구
Volume
64
Number
64
Start Page
35
End Page
6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5404
DOI
10.17329/kcbook.2018.64.64.002
ISSN
1598-9836
Abstract
본고는 남사당 출신 이성호․이광수의 예술세계를 살펴보고 이성호․이광수의 비나리 대목 사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나리 뒷염불 중 상봉길경과 금자동아 옥자동아의 음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이성호․이광수 비나리의 음악적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이성호․이광수의 예술세계를 살펴보면 이성호는 타고난 목구성과 뛰어난 재능을 갖고 있어 비나리 평조 뒷염불은 그를 따라 올해 사람이 없었으며 이광수는 1970년대 후반 사물놀이를 창단하게 되어 비나리를 하나의 공연예술로 정착시켰다. 둘째 이성호․이광수의 비나리 대목 사설을 비교 분석하면 이성호의 비나리 구성은 총 14대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광수의 비나리는 총 19대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성호와 이광수의 선고사 부분에 3개 대목이 동일하며 이광수는 2개의 대목을 추가하였다. 뒷염불에서는 9개의 대목이 동일하며 이광수는 5개의 대목을 추가하였다. 비나리의 내용들은 주로 효(孝), 축원(祝願), 덕담(德談) 등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셋째 이성호․이광수의 비나리 음구조를 비교 분석하면 1960년대 이성호는 뒷염불을 평조 솔(G)음계로 시작하여 끝을 내는 반면에 1970년대 이광수의 뒷염불은 평조 솔(G)음계로 시작하여 메나리조 미(E)음계로 끝을 맺는 특징을 갖는다. 남사당 출신인 이성호와 이광수의 비나리 비교 분석을 통해 선대의 전통 비나리를 잘 보전하여 문헌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그것을 지켜 낼 수 있을 때 다음 세대에서 더 발전된 비나리를 만들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artistic worlds of Lee Seong-ho and Lee Gwang-su, both of whom were members of Namsadang, and compare and analyze them in the Binari Saseol. It also aimed to figure ou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Binari vers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Binari Duityeombul in the sound structures of Sangbonggilgyeong, Geumjadonga and Okjadonga. Firstly, the study examined their artistic worlds. While Lee Seong-ho had remarkable innate vocal construction and talent and had no one to outperform him in Binari Pyeongjo Duityeombul, Lee Gwang-su created Samulnori in the latter part of the 1970s and established Binari as a form of performance art. Secondly,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m in the Binari Saseol and found that there were total 14 and 19 Daemoks in the Binari organization of Lee Seong-ho and Lee Gwang-su, respectively. They shared three same Daemoks in the Seongosa part, and Lee Gwang-su added two more Daemoks. They had nine same Daemoks in Duityeombul with Lee Gwang-su adding five more. The content of Binari was usually filial piety, praying, and blessing. Finally,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ound structures of Binari between them. In the 1960s, Lee Seong-ho began and ended Duityeombul in the Pyeongjo Sol(G) scale. In the 1970s, Lee Gwang-su began it in the Pyeongjo Sol(G) scale and ended it in the Menarijo Mi(E) scal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of Binari between Lee Seong-ho and Lee Gwang-su, both of whom performed in Namsadang, indicate that effort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Binari of the older generations, search for ways to translate it into literature, and keep it alive will become a foundation for further advanced Binari in the later generation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School of Musi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